▲ 만해 한용운 선생. [사진출처-보훈처]

31일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가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한용운 선생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만해 한용운 선생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났다. 

1894년 동학혁명에 가담하였으나 실패로 끝나자, 1896년 설악산 오세암으로 들어갔다. 한때 만주 간도성 등을 다니며 광복운동을 하다가, 1905년 인제 백담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1913년 『조선불교유신론』을 발간해 불교 혁신운동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 

1919년 거족적인 3.1운동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 불교계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탑골공원에서의 만세운동 및 전국적인 만세운동에 적극 동참했다. 그해 3월 1일 서울 종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들과 함께 독립선언식을 가진 후 일제 경찰에 체포됐다. 7월 10일 옥중에서 ‘조선 독립의 서’를 작성, 명쾌한 논리로 조선독립의 정당성을 의연하게 설파했다. 

1921년 11월 21일 석방된 한용운 선생은 1922년 물산장려운동을 지원하고, 1923년 조선민립대학 기성회 상무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27년 2월 좌우합작민족협동전선 신간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등 중단 없는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일제 말기 총동원 체제 아래 자행된 황민화정책의 거센 파도 속에서도 선생은 민족적 자존심을 꺾지 않았다. 환갑을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1940년 창씨개명 반대운동, 1943년 조선인 학병출정 반대운동 등을 펼쳤다. 

한용운 선생은 조국광복과 민족독립 한해 전인 1944년 6월 29일 입적했다. 유해는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선생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독립운동가이자 저명한 시인이었던 한용운 선생은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출간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