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오후 강경화 외교장관(왼쪽부터 3번째)이 비즐리 WFP 사무총장(두번째)을 만나 대북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했다. 강 장관 오른쪽엔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사진제공-외교부]

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오후 방한 중인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을 면담했다. 

비즐리 사무총장은 이날 두 장관을 잇따라 만나 지난 3일 발표된 WFP와 FAO(유엔 식량농업기구)의 북한 식량상황에 대한 합동조사 결과를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의 식량사정이 10년 만에 가장 심각하다며 136만톤의 외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회담 모두에 강 장관도 “주요 의제는 북한 식량 상황”이라고 밝혔다. WFP/FAO가 “매우 중요한 보고서”를 발표했고, “객관적인 관찰”을 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정부 내에서도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확인했다. 

면담 직후, 비즐리 사무총장은 “우리가 본 현실과 (북한 식량상황) 평가에 대한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면서 “모든 국가들이 하고자 하는 바에 대해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우리는 그것을 이 나라 지도자들에게 맡기겠다”라고 공을 넘겼다.

그는 “우리는 모든 관련국들에게 필요한 수혜자들이 지원을 받는지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장해왔다”고 말했다.   

‘국제 기구를 통한 한국 정부의 대북 식량 지원이 진행되는가’는 의문에, 비즐리 사무총장은 “양자적으로 할지 다자적으로 할지는 각 나라가 결정할 일”이나 “식량 안보 상황과 평가, 시간표, 수확기, 식량 지원에 얼마나 걸리는지 등 많은 문제를 솔직하게 토의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일 밤 전화통화에서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를 끌어냈다. 

8일 청와대 관계자는 “이제 검토에 들어가야 되는 단계”라며 “어떤 종류의 품목이 어떤 방법으로 얼마만큼 (지원될지)”, “국제적 기구를 통해서 하느냐. 직접 지원을 하느냐” 등을 포함해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9일 밤 <KBS>와의 취임 2주년 대담에서, 문 대통령은 “한미 간에 그렇게 합의를 한 것이 이번(9일) 발사되기 이전인데 또다시 발사가 있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공감이나 지지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여야 정치권 사이에 충분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4일 오후 4시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한국종교인평화회의 등 민간단체들과 만나 대북 식량지원 관련 의견을 수렴한다. 15일에는 통일부 인도협력분과 정책자문위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의견을 듣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