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들이 25일(이하 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톡 북러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문제 관련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푸틴 대통령이 북미대화를 지지했으나 “우리가 점진적으로 나아가고 상대방의 이익을 존중할 때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짚었다. 하노이 2차 정상회담 결렬 이유인 트럼프 대통령의 ‘빅딜’에 반대하고, 김정은 위원장의 ‘단계적 접근’을 지지한 것.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체제 보장에 대해서 논의를 할 땐 6자회담 체계가 가동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미의 보장 매커니즘은 충분치 않을 것이라고 보고 그래서 북한에 있어선 다자안보협력체제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가 과거 ‘6자회담 산하 동북아 평화안보 실무그룹 의장국’이었음을 들어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 역할을 자청한 셈이다. 26일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의식한 발언으로도 보인다. 중국은 ‘6자회담’ 의장국이었다.   

<워싱턴포스트>는 ‘체제 보장’ 문구에 주목했다. 진지한 안전보장이 이뤄질 때만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수 있다는 취지라고 봤다.

‘김 위원장은 제재 완화를 갈망했으며, 그를 협상장으로 불러낸 수단도 최대 압박’이라는 워싱턴의 통념을 뒤집은 것이라고 이 신문은 평가했다.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과 리비아의 무아마르 가다피가 대량살상무기 포기 이후 어떤 최후를 맞았는지 김 위원장도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월 28일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직후 심양 기자회견에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우리가 비핵화 조치를 취해나가는 데 있어서 보다 중요한 문제는 원래 안전 담보 문제이지만, 미국이 아직은 군사분야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보고 부분적인 제재 해제를 상응조치로 제시한 것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최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북한 기구들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은 남북군사합의 위반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