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중당대전시당과 민족문제연구소대전지부는 2월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 조사발표 및 이장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자’ 28명의 명단과 세부 친일행적뿐 아니라 묘역 위치까지 공개되었다. 

민중당대전광역시당 ‘3·1운동 100주년! 친일잔재청산, 자주독립정신계승 특별위원회(위원장 노원록)와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지부장 박해룡)는 25일 대전현충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 백서>를 공개하고, “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 28명 묘를 즉각 이장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이 28명을 밝혀낸 조사방법은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이들 중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 국가유공, 육군, 해군(해병), 공군 장군, 경찰간부 등 5,711명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발간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에 수록된 1,005명과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4,390명을 비교하여 동일인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들은 확실한 검증을 위해 공훈록과 보고서 간 비교뿐만 아니라, 4차례 이상 현장 조사를 실시해 묘비를 촬영하고, 묘비에 기록된 내역까지 검토했다.

그간에도 서울현충원을 포함해 국립묘지에 안장된 ‘친일파’들의 명단과 인원이 공개되었고, 그 중 대표적 인물들의 묘역이 소개가 된 적은 있으나, 명단 전체의 묘역 번호가 묘역사전과 함께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전까지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것으로 거론된 인원도 26명 정도였는데, 이번에 공개된 인원은 28명으로 더 늘어난 셈이다.

▲ 노원록 민중당대전시당위원장이 기자회견 취지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날 기자회견 취지 발언에 나선 노원록 민중당대전시당위원장은 “이곳 대전현충원에는 김구 선생의 어머니이신 곽낙원 지사와 장남 김인 지사가 모셔져 있고, 또한 대전이 고향이신 항일자주독립운동가들께서도 모셔져 있다”며, 유성장터 만세운동의 주역 이상수, 이권수, 홍병두, 최승복, 인동장터 만세운동의 주역 최창규, 김직원, 권재관 등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노 위원장은 “이곳 국립대전현충원에 친일반민족자들이 항일의 순국선열, 애국지사들과 함께 묻혀 있으니 참으로 부끄럽고 분노스럽다”며, “3.1운동 100주년인 올해에 항일의 순국선열들과 애국지사들의 숭고한 자주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친일잔재청산과 평화통일운동에 더욱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이 백서에서 발표한 ‘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명된 이들에는 만주국군 상위·간도특설대 출신의 김석범(장군1-071), 일본군 중좌 출신의 백홍석(장군1-176), 만주국군 상위 출신의 송석하(장군1-093), 만주국군 상위·간도특설대 출신의 신현준(장군1-273)이 있다.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이들은 위 4명을 포함해 만주 간도특설대 준위 출신의 김대식, 일본군 헌병 오장 김창룡, 일본군 대위 출신의 유재흥, 이형근 등 28명에 달했다.

이중 상당수는 자신의 친일반민족행위를 숨기기 위해 공훈록 및 묘비 내역에 1945년 해방 이전의 행적을 기재하지 않았으나, 자신의 친일반민족행위 행적을 공훈록 및 비석에도 기재한 이들도 많았다. 

김동하(1941년 만주 신경육군군관학교 졸업), 김석범(1937년 만주 군관학교 졸업), 김일환(1937년 중국만주 군경리학교 졸업), 박동균(1943년 하얼빈 육군군의학교 졸업), 석주암(1936년 만주간도사관학교 졸업, 1939년 만주군관학교 졸업), 송석하(1937년 만주국 군관 양성기관 봉천군관학교 졸), 신현준(1937년 만주 봉천 군관학교 졸업, 1944년 만주군 제8단 제6연대장), 유재흥(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이한림(1940년 만주 신경군관학교 예과 입교, 1944년 일본육군사관학교 졸업), 최주종(1943년 만주 신경군관학교 졸업) 등이 여기에 속한다.

▲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 28명 묘역 지도를 들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김해인 지사의 차남 김영진 선생(오른쪽)도 참석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들은 현행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약칭: 국립묘지법)의 문제도 지적했다.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서 사망한 사람’의 자격으로 현충원에 안장된 이들은 친일반민족행위로 서훈이 취소된 경우 안장 자격이 박탈당해 이장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친일반민족행위가 인정된다 하더라도 이장할 수 있는 법적 요건이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친일반민족행위가 드러난 장성급(將星級) 장교나 무공훈장을 받은 사람들의 묘를 이장할 수 없어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자’들 중 군인이 22명으로 78.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유재흥(2011년 안장), 이한림(2012년 안장), 김영택(2018년 안장) 등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와 『친일인명사전』이 발간된 이후에도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대전현충원에 안장되고 있어 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서훈취소로 이장되었지만, 장군묘역에서는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안장 인원이 줄기는커녕 늘고 있는 형국이다. 

서훈 취소로 현재까지 대전현충원에서 이장이 확인된 이들은 1996년 서훈이 취소된 서춘(2004년 이장), 2011년에 서훈이 취소된 강영석(2015년 부인의 부군자격으로 합장), 김응순(2011년 이장), 박성행(2015년 이장), 박영희(2011년 이장), 유재기(2011년 이장), 이동락(2011년 이장)이 있다. 

하지만 현행 국립묘지법에는 친일반민족행위를 한 배우자 안장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강영석의 경우 부인의 묘역에 부군으로 합장으로 안장되어 있어 국립묘지법의 틈새를 이용해 실질적으로 이장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날 백서에서 공개된 대전현충원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백서에서 발췌).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아직도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항일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안장되어 있어 순국선열들뿐만 아니라 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며 “이것이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면서도 친일잔재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구 선생의 어머니 곽낙원 지사의 묘역과 김구 선생 암살 배후 김창룡의 묘역은 불과 600m를 거리에 두고 있다.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묻혀 있는 박승훈, 김영택, 유재흥, 이용이 묻혀 있는 장군 2묘역은 애국지사 4묘역과 불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고 말하며, 조속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묘 이장을 촉구했다. 

또한 “국립묘지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묘가 줄기는커녕 더 늘어나고 있다”며, “이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이외, 특히 장성급(將星級) 장교의 경우에는 친일반민족행위가 밝혀졌다 하더라도 안장을 막을 수 없고, 이장을 시킬 수 없는 현행 국립묘지법의 한계 때문”이라고 말하며, ‘친일반민족행위자’는 국립묘지에서 이장시키고, 향후에도 안장할 수 없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된 국립묘지법 개정이 하루 속히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기자회견문은 민족문제연구소 박해룡 지부장이 낭독했다.

▲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김구 선생의 모친 곽낙원 지사와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지낸 조문기 지사의 묘를 찾아가 백서를 헌정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김구 선생의 모친 곽낙원 지사와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지낸 조문기 지사의 묘를 찾아가 백서를 헌정하며, 대전현충원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 묘를 이장시킬 때까지 끊임없이 친일잔재청산 운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수정: 2월 27일 오후 8시)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