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이 남북 산림협력을 통한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에 나선다. 북녘 황폐산림 복구, 양묘장 현대화, 임농복합경영, 산림재해 공동대응, 원시림 등 자연생태계 공동보호, 한반도 핵심 생태축 복원이 골자이다. 16일 오후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나무를 심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산림청이 남북 산림협력을 통한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에 나선다. 북녘 황폐산림 복구, 양묘장 현대화, 임농복합경영, 산림재해 공동대응, 원시림 등 자연생태계 공동보호, 한반도 핵심 생태축 복원이 골자이다.

산림청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로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박종호 산림청 차장은 △남북 공동 시범사업을 통한 신뢰기반 구축, △호혜적인 협력, △지속가능한 성과창출 등을 원칙으로 한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 안을 제시했다.

먼저, 박종호 처장은 북측의 황폐산림 복구를 위해 평양, 개성, 고성을 삼각축으로 한 경제림, 유실수림, 연료림 등 다양한 유형의 산림복구를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북한 산림면적 889만ha 중 284만ha, 약 32%가 황폐해진 상황인데, 이는 식량과 연료난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라는 배경에서다.

양묘장 현대화는 노후양묘장을 온실 중심의 시설 양묘장으로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되, 북한이 자력으로 복구하는 역량을 향상시키겠다는 것.

지난해 11월 방남한 북측 송명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실장은 “물고기보다 낚시도구와 배를 지원해 달라. 양묘장을 많이 만들었으면 한다”고 발언한 취지에 맞게 한다는 구상이다.

임농복합경영은 평양-개성-황해도-평안북도를 축으로 인구 밀집과 산림 훼손이 심한 서해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하며, 밤나무와 밭벼, 낙엽송과 옥수수, 단나무와 고구마 등으로 구분지어 임농복합경영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실행계획(15-24)과 연계한다는 것. 북한은 농지로 개간된 산지 30만ha에 임농복합경영을 도입해, 곡물 소비량 10% 이상, 농촌 연료 수요 30%를 충당한다는 구상이다.

박 처장은 남북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DMZ)를 중심으로 산림재해에 공동대응하며, 북한 백두산, 개마고원과 오가산, 낭림산, 관모봉, 경성 등 자연보호구 4곳을 대상으로 생육환경 공동개선, 산림유전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자연생태계 공동보호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강원도 세포군 마루금 훼손지를 대상으로 △백두대간 자원실태 공동조사, △대면적 단절구간 우선복원, △세계복합유산 등재 공동추진 등 한반도 핵심 생태축 복원에 나설 계획이다.

국민 참여를 위해 오는 3~4월 중 판문점선언 1주년을 맞아 남북 주민이 함께 소나무, 잣나무, 유실수를 심는 ‘남북공동 평화의 나무심기’ 행사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문국현 남북산림협력자문위원회 위원장은 ‘한반도 숲 재단’ 창설을 제안했다. △한반도 생태계 보전, △남북 간 신뢰.평화.경제협력 선도, △파리기후협약 기반 탄소 배출권 창출 등의 목표로, 올해 내 설립을 제시했다.

김평환 한국자유총연맹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 ‘한반도 숲 가꾸기’ 중앙추진단을 꾸렸다면서, △1인 1그루 후원 캠페인, △북한 내 단독 양묘장 조선 등으로 정부의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 사업에 동참할 뜻을 밝혔다.

정부의 사업에 대해,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은 “(북한) 지도부는 과학적 측면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며 “양묘장 시설, 종자지원 요청은 종자생산과 양묘장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며, 명확한 경영계획이 수반된 구역 설정은 장기적으로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남북한의 통일, 평화 공존을 희망하는 국제사회의 염원 속에서 이제는 이념 또는 실용적 지속가능성이냐에 대한 사고 및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자연보전, △종자개선, △기후 관련 유전자 식별 및 보호, △새로운 식량 자원 발굴 등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 이낙연 국무총리는 개회사에서 북측을 향해 아시아산림협력기구 동참과 2021년 제15차 세계산림총회 참가를 제안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각계의 남북 산림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발언이 이어졌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개회사에서 “남북 산림협력은 남북 모두에게, 그것도 지금을 넘어 후대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북한으로서는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줄이고 식량 생산을 늘릴 수 있다. 임농복합 사업으로 산림자원과 식량을 더 얻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측을 향해 아시아산림협력기구 동참과 2021년 제15차 세계산림총회 참가를 제안했다.

고건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임농복합조림, 양묘장 현대화, 연료대책 등을 강조하며, “북한은 UN기후변화당사국 총회에서 산림복원 10년 계획으로 63억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기후변화대응국가사업으로 UN에 등록한 바 있다”며 “한반도 녹화사업은 UN기후변화대응사업을 남과 북이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은 기조연설에서 “남북 산림협력은 서로를 겨누었던 무기를 내려놓고 화해 협력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며 “남북한 산림협력사업은 한반도의 평화구축을 지향하는 큰 틀에서 호혜적 교류협력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대표적인 평화 프로젝트인 산림협력에 대해서는 대북제재가 포괄적으로 풀렸으면 좋겠다”며 “제재가 풀려서 사업이 본격화되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교안보적 변수와 무관하게 굴러가는 이 사업은 남북관계를 결정적으로 개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재현 산림청장,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 원행 조계종 총무원장, 김덕룡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 5백여 명이 참석했으며, 강영식 겨레의 숲 운영위원장, 박은식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사무차장, 박영자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