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당대전시당(위원장 노원록)은 3일 대전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대전 3·1운동 100주년, 무엇을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민중당대전시당은 “2019년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라며, “대전지역의 인물, 역사문화 유적지에 대해 재조명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사진 - 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토론회 발제에 나선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은 “대전지역에서는 3월 3일부터 시작하여 4월 3일까지 대전 인동·유성·유천·치마(갈마)·회덕·산내·가수원·세천 등지에서 총 19회에 걸쳐 연인원 3,000명 이상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30여 명의 사망자와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주도 인사를 포함한 만세 군중을 40여 명 이상 체포되었고, 이 중 13명이 재판에 회부되어 옥고를 겪었다”고 말하며 대전 3·1운동을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임재근 팀장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며, 1919년 3월 4일자 <동경조일신문(東京朝日新聞)>』 “대전·평양·황주·창원·진남포·원산 등지에서 폭민이 봉기하여 와석(瓦石)을 던지는 소요가 있었다”는 보도의 사실 여부, 3월 12일 천도교가 주동이 된 남부교회 앞 시위, 세천·유천·가수원 등 지역의 시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재근 팀장은 특히 인동장터(당시 대전장 또는 한밭장)에서 최초로 발생했다고 알려진 1919년 3월 16일 만세시위에 대해 재조사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 팀장은 그 이유로 대전 3·1운동에서 인명피해 및 관련자 현황을 살펴보면 검거된 이들이 거론되는 경우 유독 3월 16일에 검거된 것으로 알려진 장운심(張雲心), 권학도(權學道) 등의 재판 기록만 없고, 날짜도 1984년 『대전시지』에는 3월 14일로 기록되다가 1992년 『대전시사』부터는 이유를 알 수 없이 3월 16일로 변경되었다는 것.

임 팀장은 또한 1952년 내무부에서 작성한 ‘3·1운동시 피살자 명부’에서 양사길(梁士吉)의 기록을 찾아내 “순국장소와 상황을 보면 인동장터로 보이지만 순국 날짜가 4252(1919)년 3월 1일로 되어 있다”며, 해당 자료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인동장터 만세운동의 시기가 3월 1일일 가능성도 있어 “재조사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토론자로 나선 홍경표 민족문제연구소대전지부 사무국장도 “대전3·1운동 관련자들의 재판기록 어디에도 3월 16일 인동장터 만세운동이 거론된 적이 없다”고 말했고, 이어 “지난해 대전시에 보낸 정보공개 청구에서도 대전시로부터 ‘3·16 인동장터 만세운동 사례는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다’는 내용의 회신을 받은 바 있다”고 밝혔다.

이에 홍경표 국장도 3월 16일 인동장터 만세운동의 날짜와 주동 인물들에 대한 재검토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대전 동구청은 2000년부터 3·16인동장터만세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3월 16일에 ‘인동장터 만세운동 재연행사’를 진행해오고 있어 이들의 지적에 대한 사실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 임재근 팀장이 국가기록원을 통해 입수한 ‘3·1독립운동 당시 일인(日人)으로부터 피살(被殺)당한 애국지사 조사’표(1952년 내무부 작성). 이 기록에는 3.16인동장터만세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양사길(染士吉)이 4252(1919)년 3월 1일 순국한 것으로 나와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안여종 (사)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대전은 전국적으로 드물게 해방(광복, 독립)을 기념하는 비석과 나무를 식재한 곳이 3곳이나 된다”며, “‘을유해방기념비’를 보문산에서 다시 대전역 광장으로 옮기고, 유성초등학교 뒤뜰에 방치된 듯 홀로 있는 해방기념비는 시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유성장터로 옮기자”고 제안했다.

안여종 대표가 거론한 ‘을유해방기념비’는 해방 1년 후인 1946년 8월 15일에 ‘을유팔월십오일기렴’이라 새긴 기념비를 대전역 광장에 해태상 한 쌍과 함께 건립된 것이다. 해태상은 1957년 5월에 동작동국립묘지에 기증되었고, 기념비는 1971년 8월 현재의 위치인 보문산으로 이전하였다. 유성초에 방치된 해방비는 현재까지 기원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노원록 민중당대전시당위원장도 토론에 나서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2019년에 대전지역의 3·1만세독립운동과 항일정신을 후세에 전하는 것과 함께 대전의 근대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전 근대역사관’ 등이 없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며, 현재는 민간이 소유해 상업시설로 쓰이고 있는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과 조선식산은행 대전지점 건물을 대전시가 매입해 ‘대전 근대역사관’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임재근 팀장은 “대전 3·1운동의 전개 과정 발생한 사망자, 부상자, 검거자 등 ‘사람’에 대한 기억과 만세운동이 발생한 ‘장소’에 대한 기억이 필요하다”며 “대전3·1운동 지도를 제작해 배포하는 것도 기억을 확산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단순히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진행하는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대중운동이 되어야 한다”며, “민관이 함께, 정당, 단체, 언론사 등 모든 분야를 막론하고, 일상적인 대중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재근 팀장은 “더 중요한 것은 대중적 기억운동에 앞서 철저한 조사와 연구 사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다시 한번 대전 3·1운동에 대한 철저하고 명확한 재연구를 강조했다.

▲ 토론회를 주최한 민중당 대전광역시당 노원록 위원장도 토론자로 나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민중당 대전광역시당 노원록 위원장은 “단순한 정당의 정책제안 문제가 아닌 대전지역민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갖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하며, “앞으로 지자체와 정치권이 함께 노력하도록 꾸준히 정책제안, 그리고 각계단체와의 연구활동, 시민활동을 이어갈 것”을 약속했고, 토론회의 결과를 대전시와 대전시의회에도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