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가고파라 내고향 6. 석왕사


전설에 얽힌 석왕사
이태조가 심었다는 잣나무도 있는지
빨리 통일되어 가족상봉하기를 고대


『이승만의 경우 그는 통일방법에 있어서 북진통일만이 자기의 대통령 감투를 오래 부지하는 길이라고 믿었다. 그리하여 당시 남북통일론은 북진통일론 이외 다른 통일론을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공산당으로 몰아 감옥으로 보냈고 심지어는 교수대에 세웠던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그들은 덩달아서 무고한 백성을 공산당으로 몰아 모진 고문과 학살을 일삼았던 것이다. 이들은 이 정권의 몰락과 함께 지금은 반민족 행위자라는 낙인이 찍혀 고랑을 차고 감옥에 들어가 더 먹으려고 깡보리밥 덩어리를 마룻바닥에 놓고 싸우고 있다지 않은가!』

영흥 출신 이헌 씨는 남북통일 문제에 대하여 보다 자유스러운 발언을 한다.

『오천년 역사의 우리 조상들의 유업을 물려받은 우리 민족이 강토를 갈라놓고 생을 향유해보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이같이 말하면서 『지금은 갈수 없는 그 산천 그 고장이지만 어려서 보던 석왕사의 인상은 잊을 수 없다』고 말을 이었다. 『이태조가 서까래 셋을 지고 가는 꿈이 왕 될 꿈이라는 무학대사의 해몽이 내려 설봉산 기슭에 석왕사를 세워 놓았다는 터전! 길주 향적사에서 오백나한을 업어다가 하루 하나씩 498일을 계속하고 나머지 둘 중에서 하나만 업어오면 하나가 외로운 밤을 보낼 것이라고 해서 단번에 두 부처님을 업어 옴으로써 부처 하나가 노하여 밤중에 도망갔다는 월선보살이 앉았다는 자리! 그때 그 자리에는 빨간 헝겊만이 깔려있던 일이 인상적이었다』고 - 『지금도 석왕사에는 이태조가 심었다는 전나무가 살아있는지 유물론만 숭상하는 그 무지한 놈들이 행여 베어 버리지나 않았는지! 늙은 어머니와 작은 누이동생을 집에 두고 나왔는데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내 생전에 통일되어야 그리운 어머니 얼굴을 다시 한 번 볼 수 있으련만! 또 그놈들이 짓밟은 내 고향산과 뜰에 나무도 심어 어릴제 내놀던 동산을 다시 가꾸어 내 아들 내 손자들에게 물려주련만!』

(사진=석왕사=1938년 촬영)

이 헌(영흥출신=공무원)

 

상아의 광장
예속성 배제 위해 투쟁

학생은 상아탑 속에서 관념만을 파먹고 살 것이 아니라 상아의 광장에서 냉혹한 현실에 직접 접해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리일진대 현하 굴욕적인 한미경제협정을 반대하는 우리 학생들의 투쟁을 방해하는 노력이 있다면 그들은 바로 민족의 피를 뽑는 매판자본세력이든가 특권층일 것이다. 그들은 민족의 발전을 위해 반성 있기를 촉구한다.

우리는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위하여 투쟁할 따름이다. 그러기에 여기에는 어떠한 공산당의 작용도 있을 수 없다. 부디 공산당시하는 이승만적 협박수단을 근절하기 바란다.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을 찾아 복지를 건설하려할 따름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우리의 외국에 대한 예속성을 배제하기 위한 투쟁을 끝까지 계속하려는 것이니 우리의 행동에 열렬한 지원 있기 바란다.

우리는 세계 인류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투쟁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미국인민이나 미국가에 대하여는 아무런 감정이나 의혹을 갖고 잊지 않다. 다만 종속성을 강화시키려는 양국의 특권세력과 협정을 반대하는 것이다. 우리 장내각은 민족의 장래를 위하여 우리들 학생의 반대투쟁대열에 함께 나서길 바란다.(경희대=이철병)

민족일보 1961년 2월 24일자 3면

※ 경희대 이철병은 이수병의 오기이거나 가명으로 보인다.

▲ 가고파라 내고향 6. 석왕사[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李太祖가 심었다는 잣나무도 있는지
빨리 統一되어 家族相逢하기를 苦待

『이승만(李承晩)의 경우 그는 통일방법에 있어서 북진통일만이 자기의 대통령 감투를 오래 부지하는 길이라고 믿었다. 그리하여 당시 남북통일론은 북진통일론 이외 다른 통일론을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공산당으로 몰아 감옥으로 보냈고 심지어는 교수대에 세웠던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그들은 덩달아서 무고한 백성을 공산당으로 몰아 모진 고문과 학살을 일삼았던 것이다. 이들은 이 정권의 몰락과 함께 지금은 반민족 행위자라는 낙인이 찍혀 고랑을 차고 감옥에 들어가 더 먹으려고 깡보리밥 덩어리를 마룻바닥에 놓고 싸우고 있다지 않은가!』

영흥(永興)출신 이헌(李憲)씨는 남북통일 문제에 대하여 보다 자유스러운 발언을 한다.

『五천년 역사의 우리 조상들의 유업을 물려받은 우리 민족이 강토를 갈라놓고 생을 향유(享有)해보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이같이 말하면서 『지금은 갈수 없는 그 산천 그 고장이지만 어려서 보던 석왕사의 인상은 잊을 수 없다』고 말을 이었다. 『이태조(李太祖)가 서까래 셋을 지고 가는 꿈이 왕 될 꿈이라는 무학대사(武學大師)의 해몽이 내려 설봉산(雪峯山) 기슭에 석왕사를 세워 놓았다는 터전! 길주(吉州) 향적사(香積寺)에서 오백나한(五百羅漢)을 업어다가 하루 하나씩 四백九十八일을 계속하고 나머지 둘 중에서 하나만 업어오면 하나가 외로운 밤을 보낼 것이라고 해서 단번에 두 부처님을 업어 옴으로써 부처 하나가 노하여 밤중에 도망갔다는 월선(月仙)보살이 앉았다는 자리! 그때 그 자리에는 빨간 헝겊만이 깔려있던 일이 인상적이었다』고 - 『지금도 석왕사에는 이태조가 심었다는 전나무가 살아있는지 유물론만 숭상하는 그 무지한 놈들이 행여 베어 버리지나 않았는지! 늙은 어머니와 작은 누이동생을 집에 두고 나왔는데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내 생전에 통일되어야 그리운 어머니 얼굴을 다시 한 번 볼 수 있으련만! 또 그놈들이 짓밟은 내 고향산과 뜰에 나무도 심어 어릴제 내놀던 동산을 다시 가꾸어 내 아들 내 손자들에게 물려주련만!』

(사진=釋王寺=一九三八年 撮影)

李 憲(永興出身=公務員)

 

象牙의 廣場

▲ 상아의 광장 [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隸屬性排除 爲해 鬪爭

學生은 象牙塔속에서 觀念만을 파먹고 살 것이 아니라 象牙의 廣場에서 冷酷한 現實에 直接 接해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 當然한 事理일진대 現下 屈辱的인 韓美經濟協定을 反對하는 우리 학생들의 鬪爭을 放害하는 努力이 있다면 그들은 바로 民族의 피를 뽑는 買辦資本勢力이든가 特權層일 것이다. 그들은 民族의 發展을 위해 反省있기를 促求한다.

우리는 民族의 發展과 繁榮을 위하여 鬪爭할 따름이다. 그러기에 여기에는 어떠한 共産黨의 作用도 있을 수 없다. 부디 共産黨視하는 李承晩的 脅迫手段을 根絶하기 바란다.

우리는 民族의 自主性을 찾아 福祉를 建設하려할 따름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우리의 外國에對한 隷屬性을 排除하기위한 鬪爭을 끝까지 계속하려는 것이니 우리의 行動에 熱烈한 支援있기바란다.

우리는 世界人類의 平和와 自由를 위해 鬪爭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美國人民이나 美國家에 對하여는 아무런 感情이나 의혹을 갖고 잊지 않다. 다만 從屬性을 强化시키려는 兩國의 特權勢力과 協定을 反對하는 것이다. 우리 張內閣은 民族의 將來를 위하여 우리들 學生의 反對鬪爭隊列에 함께 나서길 바란다.(慶熙大=李鐵秉)

<민족일보> 1961년 2월 24일자 3면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