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광야의 소리 11

4.19혁명은 「혁명비슷」한 것

부패근절시키려면 최저생활보장돼야지

후손에 남길게 무엇인지 기막혀요

남북한의 교역은 당연

 

『불필요한 마찰과 오해를 받고 싶지 않아 얘기는 다 할 수 없으나 양심을 조국이나 또는 인류에 향하여 비추어본다면 우리들은 후진성-이를테면 선명치 못한 암흑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어요.』씨는 이와 같이 말하기 싫다는 여러 가지 함축성 있고 복잡한 뜻의 전제를 앞세우면서 통일문제에 관하여 이렇게 말을 이었다.

『도대체 삼팔선이라는 것은 근본성질도 그렇거니와 일본군에게 항복받기 위해 출병한 미·소양국 두 나라 사이의 한계선이 아니겠오. 그렇다면 강제당하고 있던 한국민을 위하여 일본군을 몰아냈을 바에야 의당히 우리는 미·소 두 나라에 대해서 삼팔선을 철폐하라는 권한이 있어요. 그런데 일본군의 항복뿐만 아니고 남북에 각각 군정을 폈다는 사실에 관하여 나는 국제법상의 합법성 여부를 환의(의심)해요. 그것은 엄연한 현실이니까 논급하지 안겠어요.』

 
삼팔선이 설정된 시초의 동기부터 논하기 시작한다.

『이쪽은 민주주의를 내세운 자본주의적 국가요. 저쪽은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이데올로기」를 달리하는 하나의 국가형태의 집단으로 형성된 것은 사실이니 서로가 자발적으로 혼연일치하여 삼팔선을 철폐해야하고, 통일수립은 미·소간의 타협에 의존하거나 그들의 전쟁결과로 해결될 문제라고 봐요. 이것은 UN은 물론 세계 온 인류의 양심에 이 불합리를 호소하여 그 타개책과 책임추궁에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 노력이 있어야 해요. 조속히 그와 같은 기운을 마련하자면 인간의 근본조건을 1차적으로 고려하고 2차적으로 남북이 다 같이 혈연으로 연결된 자매라는 점을 잊지 말고 「구심적」으로 해결할 사고방식이 있어야 하겠어요. 그리고 남북한의 교역은 당연히 해야죠.』 그런 것은 왜 묻느냐는 표정으로 민도(국민문화수준)가 얕다는 구실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머지않아 법조인으로서의 지위를 떠나 이 민족의 이 사회의 한 사람으로서, 인간된 도리로서 모든 문제를 구태여 구명하겠노라고 구체적인 설명을 은근히 피하려는 씨의 심경은 담배연기를 한 모금 내뿜는 다소 흥분한 표정에서 앞서 말한 「마찰을 피하겠다.」는 전제가 무언가를 짐작할 수 있었다.

4.19혁명은 「혁명 비슷한 것」이라고 비꼬면서 현실의 부패를 「개악을 빙자하고 개악해서는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승만·이기붕이 사임했으면 곧 정·부통령을 재선해줄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허 내각이 헌법을 준수 안 했어. 그러니 구태의연할 수밖에-후세 자손들에게 남겨 줄 것이 무엇이냐는 점을 생각하면 기막힐 노릇이야.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의 정치가 구현될 때 말하자면 경제안정이죠. 각자가 최저생활이 보장될 때 부패도 시정될 거요』하며, 공자의 「의식족이지예절」(먹고 입는 것이 충분해야 예절을 안다)이라는 문구를 인용하면서, 사흘 굶은 놈이 도둑질 안할 놈 있겠느냐고 오히려 반문했다.

사회조직은 마치 하나의 연쇄작용과 같은 것이니 누가 (악을) 더하고 누가 덜한 것이라고 자기로서는 지금 찝어 내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가령 며칠 전 미군종업원들의 「데모」같은 것을 본다면 반미사상이 아니야요. 행정협정이 없다는 것뿐이고 그들의 요구는 자연스러운거야 권리만 찾으면 된다는 것이니깐.. 그리고 일본과의 국교야 지리적 조건으로 경계해야겠지만 교전도 없는데 공연히 적국시할 필요가 어디 있어 정상국교를 열어야 해』

『3.15부정선거가 부정이라고 들고 나선 것이 3월 28일 변호사협회의 성명서가 맨 처음이었고, 마산에 조사단 회원 8명을 파견하여, 일주일동안 진상을 보고케하여 마산 「데모」는 의거니 발포살인경찰의 처단을 요구했고, 또 외국신문사설에서 당시의 사태를 「엄정중립을 표방하는 변협」이라고까지 예를 들어 쓴 사실도 있으니 하나 하나 들추어 말할 때가 있어요.』

이것은 씨가 과감히 투쟁할 시기(?)를 벼르고 있다는 인상을 남겨주는 것이라 짐작되었다.

 

정구영씨 약력

충북옥천출신(66세)

▲경성법전졸업 ▲일본·중학에 외유 ▲대구·서울지방검사(2년간) ▲전 대한변호사협회회장 ▲현재 변호사

 

▲ 광야의 소리 11 [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四.一九革命은 「革命비슷」한 것

腐敗根絶시키려면 最低生活保障돼야지

後孫에 남길게 무엇인지 기막혀요

南北漢의 交易은 當然

 

『不必要한 摩擦과 誤解를 받고 싶지 않아 얘기는 다 할 수 없으나 良心을 祖國이나 또는 人類에 향하여 비추어본다면 우리들은 後進性-이를테면 鮮明치 못한 暗黑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어요.』氏는 이와같이 말하기 싫다는 여러가지 含蓄性있고 複雜한 뜻의 前提를 앞세우면서 統一問題에 關하여 이렇게 말을 이었다.

『도대체 三八線이라는 것은 根本性質도 그렇거니와 日本軍에게 降伏받기 위해 出兵한 美·蘇兩國 두나라 사이의 限界線이 아니겠오. 그렇다면 强制當하고 있던 韓國民을 위하여 日本軍을 몰아냈을 바에야 의당히 우리는 美·蘇 두나라에 對해서 三八線을 撤廢하라는 權限이 있어요. 그런데 日本軍의 降伏뿐만아니고 南北에 각각 軍政을 폈다는 事實에 關하여 나는 國際法上의 合法性 與否를 懁疑해요. 그것은 儼然한 現實이니까 論及하지 안겠어요.』

三八線이 設定된 始初의 動機부터 論하기 始作한다.

『이쪽은 民主主義를 내세운 資本主義的 國家요. 저쪽은 私有財産을 認定하지 않는다는 「이데올로기」를 달리하는 하나의 國家形態의 集團으로 形成된 것은 事實이니 서로가 自發的으로 渾然一致하여 三八線을 撤廢해야하고, 統一樹立은 美·蘇間의 妥協에 依存하거나 그들의 戰爭結果로 解決될 問題라고 봐요. 이것은 UN은 勿論 世界 온 人類의 良心에 이 不合理를 呼訴하여 그 打開策과 責任追窮에 不斷한 努力이 있어야 努力이 있어야 해요. 早速히 그와 같은 氣運을 마련하자면 人間의 根本條件을 一次的으로 考慮하고 二次的으로 南北이 다같이 血緣으로 연결된 姉妹라는 點을 잊지 말고 「求心的」으로 解決할 思考方式이 있어야 하겠어요. 그리고 南北韓의 交易은 當然히 해야죠.』 그런 것은 왜 묻느냐는 表情으로 民度가 얕다는 口實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머지않아 法曹人으로서의 地位를 떠나 이 民族의 이 社會의 한 사람으로서, 人間된 道理로서 모든 問題를 구태여 究明하겠노라고 具體的인 說明을 은근히 避하려는 氏의 心境은 담배연기를 한모금 내뿜는 多少 흥분한 表情에서 앞서 말한 「摩擦을 避하겠다」는 前提가 무언가를 짐작할 수 있었다.

四.一九革命은 「革命 비슷한 것」이라고 비꼬면서 現實의 腐敗를 「改惡을 빙자하고 改惡해서는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李承晩·李起鵬이 辭任했으면 곧 正·副統領을 再選해줄 義務가 있음에도 不拘하고 許內閣이 憲法을 遵守 안 했어, 그러니 舊態依然 할 수 밖에- 後世子孫들에게 남겨 줄 것이 무엇이냐는 點을 생각하면 기막힐 노릇이야.

 
韓國人을 爲한 韓國人의 政治가 具顯될 때 말하자면 經濟安定이죠. 各自가 最低生活이 保障될 때 腐敗도 是正될 거요』하며 孔子의 「衣食足而知禮節」이라는 文句를 引用하면서, 사흘 굶은 놈이 도둑질 안할 놈 있겠느냐고 오히려 反問했다.

社會組織은 마치 하나의 連鎖作用과 같은 것이니 누가 (惡을) 더하고 누가 덜한 것이라고 自己로서는 지금 찝어 내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假令 며칠전 美軍從業員들의 「데모」같은 것을 본다면 反美思想이 아니냐야요. 行政協定이 없다는 것뿐이고 그들의 要求는 自然스러운거야 權利만 찾으면 된다는 것이니깐.. 그리고 日本과의 國交야 地理的 條件으로 警戒해야겠지만 交戰도 없는데 공연히 敵國視할 必要가 어디 있어 正常國交를 열어야 해』

『三·一五不正選擧가 不正이라고 들고나선 것이 三月二十八日 辯護士協會의 聲明書가 맨 처음이었고, 馬山에 調査團 會員八名을 派遣하여 一週日동안 眞相을 報告케하여 馬山 「데모」는 義擧니 發砲殺人警察의 處斷을 要求했고 또 外國新聞社說에서 當時의 事態를 「嚴正中立을 標榜하는 辯協」이라고까지 例를 들어 쓴 事實도 있으니 하나 하나 들추어 말할 때가 있어요.』

이것은 氏가 果敢히 鬪爭할 時機(?)를 벼르고 있다는 印象을 남겨주는 것이라 짐작되었다.

 

鄭求瑛 氏 略歷

忠北沃川出身(六六歲)

▲京城法專卒業 ▲日本·中學에 外遊 ▲大邱·서울地方檢事(二年間) ▲前 大韓辯護士協會會長 ▲現在 辯護士

<민족일보> 1961년 2월 24일(제12호) 1면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