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학생써클 - 민족통일연맹

연구와 행동투쟁을 병행
조국통일 위해 뭉친 모임이라고

이제야 말로 통일 없이는 못살겠다는 절박한 열망은 젊은 세대들 간에 뚜렷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 이 나라의 어두운 정치현실에 한 점 횃불을 비쳐주고 있다.
혁명 1주년을 눈앞에 두고도 독재가 무너지던 날의 가슴 벅찬 희망이 거품으로 사그라짐을  느낄 때 젊은 세대들은 그들 스스로가 결행할 태세로 통일전선에 규합되고 있다. 기성세대에선 기대할 수 없다고, 『그러나 우린 어떤 통일방안 밑에 결성된 건 아니죠.』 서울대 민통조직위원장인 황건 군은 이렇게 전제하면서 『우리는 남북에 각각 있는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를 초월하여 통일에 매진하려는 겁니다. 그래서 단순히 통일이란 목표가 제반문제를 연구 토론 비판하자는데...』 민통의 행동강령이 있음을 명백히 하고 특히 통일 후의 남북한의 융화문제를 주의 깊게 생각하고 있다한다.
그것은 지금 우리 민족이 빵과 자유의 어느 한 「이데올로기」를 택일할 필연적인 운명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황군은
『... 미•소 양진영을 수호하는 영웅적인 삐에로 정도밖에 되어있지 않잖아요? 이런 피지배적인 상태는 통일로서만 극복할 수 있다』고 다짐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만 하더라도 남북이 각기 행동하고 있으므로 말미암아 민족적 입장에서는 이중적 부담이 되어 있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학생「써클」 180여명이 모여 그 발기대회를 본 서울대 민족통일연맹(대표 윤식)을 필두로 하여 경희(이수병) 항공대(이상익) 경북대 부산대 수산대(염규찬) 동아대 등에서 이미 5,60명내지 백여명의 회원을 규합하여 결성을 보았고, 고대 성대 등 수개 대학이 발기단계에 들어서고 있다고 하며, 이 밖에도 재서울학생들의 민족통일문제연구회 및 전국학생조국통일추진회, 법대내의 극동문제연구회 문리대내의 후진사회연구회, 경북대내의 사월회, 재부산학생들의 후진성극복연구회 등도 「세미날」 또는 「씸포지움」으로 실속있는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작금 이러한 각 대학의 「써클」은 지난 12일 전국학생민통연합전선의 결성에 합의를 보는 한편, 한미경제협정 반대를 투쟁목표로 행동통일을 보였듯이 곧 전국적인 통일전선이 구축될 것이라고 하는데 다만 각자의 주머니에서 경비를 염출해야 할 것이 난관이라고 한다.
당장엔 소수인원이 가담하고 있을망정 동조하는 전체 학생은 잠재적 회원으로 보아 틀림없다.』 고 황군은 자랑해마지 않는다.

(사진=한미경협을 반대하는 학생들)

 

▲ 학생써클 - 민족통일연맹  [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硏究와 行動鬪爭을 並行
祖國統一 爲해 뭉친 모임이라고

 

이제야 말로 統一없이는 못살겠다는 切迫한 熱望은 젊은 世代들간에 뚜렷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 이 나라의 어두운 政治現實에 한 점 횃불을 비쳐주고 있다.

革命一주년을 눈 앞에 두고도 獨裁가 무너지던 날의 가슴벅찬 希望이 거품으로 사그러짐을 느낄때 젊은 世代들은 그들 스스로가 決行할 태세로 統一戰線에 규합되고 있다. 旣成世代에선 기대할 수 없다고, 『그러나 우린 어떤 統一方案 밑에 結成된건 아니죠.』 서울大 民統組織委員長인 黃建군은 이렇게 전제하면서 『우리는 南北에 각각 있는 政治的인 「이데올로기」를 초월하여 통일에 매진하려는 겁니다. 그래서 단순히 統一이란 目標가 제반문제를 硏究 討論 批判하자는데...』 民統의 行動綱領이 있음을 명백히 하고 특히 統一후의 南北韓의 融和문제를 주의 깊게 생각하고 있다한다.

그것은 지금 우리 民族이 빵과 自由의 어느 한 「이데올로기」를 擇一할 必然的인 運命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黃군은

『... 美•소 兩陣營을 수호하는 英雄的인 삐에로 정도밖에 되어있지 않잖아요? 이런 被支配的인 상태는 統一로서만 克服할 수 있다』고 다짐하면서 經濟的인 문제만 하더라도 南北이 각기 行動하고 있으므로 말미암아 민족적 입장에서는 二重的負擔이 되어 있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學生「써클」 백八십여명이 모여 그 發起大會를 본 서울大 民族統一聯盟(대표 尹植)을 필두로 하여 慶熙(李秀東)<주1> 航空大(李相翼) 慶北大 釜山大 水産大(廉圭鑽) 東亞大 등에서 이미 五, 六十명내지 백여명의 회원을 규합하여 結成을 보았고, 高大 成大 등 수개 大學이 發起단계에 들어서고 있다고 하며, 이 밖에도 在서울學生들의 民族統一問題硏究會 및 全國學生祖國統一推進會, 法大내의 極東問題硏究會 文理大내의 後進社會硏究會, 慶北大내의 四月會, 在釜山學生들의 後進性克服硏究會 등도 「세미날」 또는 「씸포지움」으로 實續있는 頭角을 나타내고 있다.

昨今 이러한 各大學의 「써클」은 지난 十二일 全國學生民統聯合戰線의 결성에 合議를 보는 한편 韓美經濟協定 반대를 鬪爭目標로 行動統一을 보였듯이 곧 전국적인 統一戰線이 구축될 것이라고 하는데 다만 각자의 주머니에서 經費를 捻出해야 할 것이 난관이라고 한다.

당장엔 小數人員이 가담하고 있을망정 同調하는 전체 학생은 潛在的會員으로 보아 틀림없다.』 고 黃군은 자랑해마지 않는다.

(寫眞=韓美經協을 反對하는 學生들)

<민족일보> 1961년 2월 23일 4면

 

<주1> 이수병(李銖秉, 1937-1975)의 오기이거나 가명으로 보여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