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농촌의 인상 ④

문맹자로 평생을 늙어

= 취학률 늘기는 커녕 점점 줄어들어가고 =

잔뼈도 굵기 전에 심한 노동

 

소도시의 어린이들 취학률은 점점 높아져가고 있으나 두멧골에 가면 그렇지도 않다

비교적 환경이 좋다는 경기도의 경우도 인구총수의 88.4 퍼센트가 취학하고 있으나 아동들의 평균 통학거리는 1.5킬로미터이며 5킬로미터 이상 10킬로미터의 먼 거리에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그중 1.5 퍼센트나 차지하고 있다.

먼 곳에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대부분은 그 전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세농민들의 자녀들이다.

매짠 바람이 몰아치는 눈길을 변변히 입지도 못한 누더기 차림으로 등을 꾸부리고 걷기가 일쑤이며 심지어는 그 추운 겨울에 양말조차 못 신고 다니는 모습은 눈물겨운 일이었다.

경기도 총 인구 중에서 학교에 전연 다닌 일이 없다는 사람이 33.6 퍼센트(중앙교육연구소 조사)나 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숫자는 이미 다 자란 어른들을 포함한 수이기는 하나 지금도 국민학교에 못가는 아이가 수두룩하다. 학교에 못사는 것이 아니고 집안 형편으로 보낼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어린이들은 그들의 잔뼈가 채 굵기도 전에 심한 노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손바닥만큼 한 잔등에 육중한 짐을 실은 지게를 져야하며 하루 종일 밭에 나가서 호미질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집안일을 돌보는 아이들은 그래도 행복한 편이다.

매일 1,2백환을 받고 품팔이를 하는 어린이들은 차마 눈을 뜨고는 볼 수가 없다. 절망 속에 허덕이는 그들을 지금과 같은 현실에서는 구할 길이 없을 것 같이 보인다.

배운다는 일에 앞서 몇 알의 보리쌀이 문제인 것이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보낸다는 일은 꿈같은 일로 여기는 그들의 부형들은 제자식이 문맹자로 일생을 늙어간다는 일을 그다지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있다.

조상에서 부터 내려온 무지를 그대로 이어받아 그것이 할 수 없는 자기들의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역시 경기도의 경우를 보면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사람이 12세에서 49세에 있어 1할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 두메산골의 사람들이다.

이들에 비하여 더비참한 것은 도서지구에 있는 어린이들이다.

형편없는 시설이나마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은 그래도 여유가 있는 집 자녀들이다.

많은 어린이들은 그들의 부모를 따라 어렸을 때부터 배를 타야하고 바다풀을 뜯으며 공부라고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의문교육이라고 해도 교과서 하나 무상으로 주지 못하는 정부이기는 하나 적어도 손에 닿고 눈에 보이는 시골어린이들 교육정책을 다시 검토하지 않는 한 불우한 그들은 영영 구할 길 없을 것이다.(K)

▲ 농촌의 인상 ④ [민족일보 기사(1961년 2월 23일자 3면 ) 이미지]

文盲者로 평생을 늙어

= 就學率 늘기는 커녕 점점 줄어들어가고 =

잔뼈도 굵기 전에 甚한 勞動

 

소도시의 어린이들 취학률은 점점 높아져가고 있으나 두멧골에 가면 그렇지도 않다

비교적 환경이 좋다는 경기도의 경우도 인구총수의 八八.四「퍼센트」가 취학하고 있으나 아동들의 평균 통학거리는 一.五「킬로미터」이며 五「킬로미터」 이상 十「킬로미터」의 먼 거리에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그중 一.五「퍼센트」나 차지하고 있다.

먼 곳에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대부분은 그 전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세농민들의 자녀들이다.

매짠 바람이 몰아치는 눈길을 변변히 입지도 못한 누더기 차림으로 등을 꾸부리고 걷기가 일쑤이며 심지어는 그 추운 겨울에 양말조차 못 신고 다니는 모습은 눈물겨운 일이었다.

경기도 총인구 중에서 학교에 전연 다닌 일이 없다는 사람이 三三.六「퍼센트」(중앙교육연구소 조사)나 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숫자는 이미 다 자란 어른들을 포함한 수이기는 하나 지금도 국민학교에 못가는 아이가 수두룩하다. 학교에 못사는 것이 아니고 집안 형편으로 보낼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어린이들은 그들의 잔뼈가 채 굵기도 전에 심한 노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손바닥만큼 한 잔등에 육중한 짐을 실은 지게를 져야하며 하루 종일 밭에 나가서 호미질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집안일을 돌보는 아이들은 그래도 행복한 편이다.

매일 一, 二백환을 받고 품팔이를 하는 어린이들은 차마 눈을 뜨고는 볼 수가 없다. 절망 속에 허덕이는 그들을 지금과 같은 현실에서는 구할 길이 없을 것 같이 보인다.

배운다는 일에 앞서 몇 알의 보리쌀이 문제인 것이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보낸다는 일은 꿈같은 일로 여기는 그들의 부형들은 제자식이 문맹자로 일생을 늙어간다는 일을 그다지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있다.

조상에서 부터 내려온 무지를 그대로 이어받아 그것이 할 수 없는 자기들의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역시 경기도의 경우를 보면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사람이 十二세에서 四十九세에 있어 一할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 두메산골의 사람들이다.

이들에 비하여 더비참한 것은 도서지구에 있는 어린이들이다.

형편없는 시설이나마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은 그래도 여유가 있는 집 자녀들이다.

많은 어린이들은 그들의 부모를 따라 어렸을 때부터 배를 타야하고 바다풀을 뜯으며 공부라고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의문교육이라고 해도 교과서 하나 무상으로 주지 못하는 정부이기는 하나 적어도 손에 닿고 눈에 보이는 시골어린이들 교육정책을 다시 검토하지 않는 한 불우한 그들은 영영 구할 길 없을 것이다.(K)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