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가고파라 내고향 (4)

元山
告香에 계시는 父母 생각 간절
海棠花보면 明沙十里의 모래 그립고
살 수 있는 길은 오직 統一의 순간부터

원산(元山)출신인 조예성(趙禮性)씨는 이북 땅의 풍부한 지하자원을 들어 『쌀이 많이 나는 이남 땅과 통일되는 날이면 우리나라는 「스칸디나비아」의 어느 나라보다도 잘살게 될 것입니다. 왜정 때는 그놈들이 알맹이를 뽑아 갔으니 못살았고 지금은 두 쪽으로 갈라져 경제균형을 잡을 수 없으니 우리 국민이 못살게 되는 것은 정한 이치입니다.』고 말하면서 『우리가 잘 살 수 있는 시기는 남북이 통일되는 순간부터』라고 결론짓는다.
『고향 생각이야 나다뿐입니까 지금 우리 학교 온실에는 八백가지 화초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해당화를 볼 적마다 명사십리(明沙十里)의 맑은 모래 생각이 나고 또 그 위에핀 진분홍 해당화를 꺾어 옷깃에 꽂으면서 놀던 어린 시절의 추억이 더욱 더욱 새로와집니다.』고 말하였다.
『그때는 그 꽃이 고운 줄도 몰랐는데 지금은 내고향을 상징하는 잊을 수 없는 꽃이 될 줄이야... 언제나 통일이 되어 모래밭에 피어난 해당화를 마을껏 보게 될는지...』 그의 표정은 자못 향수에 젖어가고 있었다.
『농골(동네이름)에 있는 외갓집 과수원에서 익어가는 사과를 아삭아삭 깎아먹던 일이며 차상학이와 반디(고기잡는 작은 그물)를 들고 개울에서 가재며 버드라기(고기이름)를 잡던 일 여름이면 송도원(松濤園) 맑은 물에서 해수욕에 해가는 줄을 몰랐고 겨울이면 신풍리(新風里) 건너 쪽 언덕에서 스키를 달리던 일들이 머리에 떠오를 때면 또 이북에 계신 부모님 생각도 간절해집니다.』고 말을 잇는다.
『一.四후퇴때 나온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아버지는 그때 병세가 위독하였다니 돌아가시기가 쉬웠고 五十이 넘은 어머니도 잘 계시는지 하루 빨리 통일 되어야 부모님 산소에라도 가서 보련만... 작년 가을에 학생들을 데리고 전곡(全谷) 소풍을 간 일이 있었는데 내가 이남으로 나올 적에 건너던 한탄강 다리를 보았답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이 다리가 八.一五직후 三八 선을 넘어 오고 넘어가는 나그네들이 건너야 하는 다리였다고 가르쳐 준 일이 있습니다.』 「조」씨는 하루 빨리 「한탄강」 다리를 마음 놓고 넘나들 수 있게 되기를 간절하게 빌었다. 
(사진=元山港(上)과 松濤園(下, 一九三八年 撮影』

趙禮性
(元山出身=敎師)

▲ 가고파라 내고향 (4) [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