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하며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를 다시 시작한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연재는 지난 2007년 10월 31일 첫 회를 시작으로 게재돼 부침을 겪다가 2011년 7월 2일 36회를 끝으로 중단된 바 있다.

알다시피 민족일보는 1961년 2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지령 92호의 짧은 삶을 살았다. 단명(短命)하긴 했지만 민족일보는 당시 저 유명한 ‘양단된 조국의 통일을 절규하는 신문’ 등 4대 사시(社是)를 내걸고 사월혁명 직후 “한국사회의 새로운 발전과 모색을 대변하는 신문”으로서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통일뉴스가 ‘민족일보 다시보기’를 연재하는 이유는 일찍이 통일뉴스가 민족일보의 얼을 이어받겠다고 국내외에 선언한 바 있으며, 특히 4월혁명 직후 한국사회를 논한 민족일보가 6.15시대를 지나 4.27판문점선언 시대를 맞는 지금 남북관계 발전과 민족통일에 무언가 긍정적 메시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이다.

‘민족일보 다시보기’ 란에는 민족일보에 실린 여러 가지 내용이 게재될 것이다. 사설, 논단을 비롯해 인터뷰, 기획연재, 세계의 동향 그리고 생생한 사회면 기사들이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실릴 것이다. 게재 방식은 첫째 원본을 싣고, 둘째 그 원본을 현실에 맞게 수정해 싣고, 셋째 가능한 경우 해설을 덧붙일 것이다. 특히 이 작업을 주도하는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께 감사드린다. / 편집자 주


「깐디」를 봐요! 「낫셀」을 봐요!
「혁」자만 봐도 질겁∙보수일색이 치명적
안일∙비굴∙위선에 찬 지도자들 뿐

『그렇습니다. 물론 그렇습니다. 빈궁과 무지 그리고 질병과 맹종은 인류공동의 죄악이고 적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새로운 운동을 일으키려는 것입니다. 빵 없는 자유도 싫어하는 우리들입니다. 헐벗은 민주주의 역시 그저 볼 수 없고요. 그렇다고 공산주의에 가까운 우리가 아닙니다. 자유없는 빵도 싫고 민주주의없는 옷가지도 싫어하기 때문에 말입니다.』

기자를 맞는 정화암 씨의 말이었다. 『얼핏 듣기에 자유도 싫고 민주주의도 역시 싫다니 그럼 뭐냔 말씀이죠? 잘 물으셨습니다. 내 대답하죠. 그건 바로 한마디로 말해서 민주사회주의라는 것입니다. 죄없는 인간에게 주름살 지우는 빈궁과 무지를 몰아내고, 백색이건 적색이건 일절의 독재를 배격하는 것이 우리 민주사회주의의 근간이요. 사상이요. 신념입니다. 다시 말하면 만인평등의 원칙아래 배불리 먹고 따뜻이 살면서 건강과 총명을 깃들이게 한 다음 자유와 평화를 오붓이 누리자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상을 모체로 하고 그와 같은 이념을 핵심으로 한 것이 바로 우리의 생각입니다.』

몸은 비록 늙었지만 마음은 아직도 이십대에 조금치도 지기 싫다는 정씨의 육성은 패기에 넘치고 정열에 충익하는 것이었다.

이정권으로부터 모국주재대사직을 교섭 받았을 때 『부패와 야합하는 정화암이 아니다』라는 한마디로 즉석에서 일축했다는 그의 고결한 청빈과 강륵한 투지는 원서동 한모서리의 셋방살이가 웅변으로 말하고 있는 듯 했다.

『모두가 다 마찬가집니다. 보수정당이란 다 마찬가지예요. 민주당이나 신민당이 자유당과 별로 다를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초록은 동색이라는 말과 같죠. 4.19가 실패한 원인을 아십니까? 그것은 다름이 아닙니다. 완고한 독재가 거꾸러진 것뿐이지 유산을 물려받은 후계세력은 고인과 다름이 없는 보수일색이라는데 치명적인 실패의 원인이 있어요. 전진하는 역사에 거역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혁명과업을 완수할 수 있단 말입니까? 4.19는 하늘이 주신 좋은 전기였지만 황량한 이 땅에는 전기를 휘어잡을 새로운 세력의 힘이 없었습니다. 힘이 없다기 보다 있을 수가 없었죠. 혁신이란 혁자만 보아도 너더댓길 훌쩍 뛰던 낡은 세력의 공모로 말미암아 혁신세력의 기능은 완전히 마비된 글자 그대로 황무지에 가까웠죠. 과장이 절대 아닙니다. 우리들에겐 숨 한번 크게 쉴 자유마저 없었으니깐요. 이러한 마당에 혁명정권을 인수해야 할 새로운 주인공이 없고 보니 어부지리를 하게 된 민주당정권에 의하여 4.19는 짓밟히기 너무도 당연한 것이죠』

폐허화된 이 땅에도 혁명이 있어 어렵다는 장미꽃이 어여쁘게 필줄 알았건만 장미는 봉오리도 맺기 전에 또다시 들었다고 탄성을 연발하는 씨의 얼굴은 잠시 어둡게 보였다. 그러나 화제가 2.8경제협정에 미치자 씨의 안면엔 가벼운 경련이 일면서 약간 흥분하기 시작했다. 잃어버린 나라를 찾기 위해 동가식서가숙으로 망명 사십년을 보낸 씨에게 있어 마땅한 동정인지도 모른다. 그는 말을 이었다.

『나라 되는 꼴 한심스러워요. 이 나라 이 민족의 지도자라는 사람들은 안일과 비굴과 위선속에서 지향할 바를 모르고 있어요. 그분들이 하는 말은 자세히 들어봐요. 2.8협정같은 역사의 굴욕을 영광의 「빛」이라고 우겨대는 그 심사를 보란 말입니다.  몇 천만불의 원조를 더 받게 된 것은 우리 내각의 외교적 일대승리라고 자랑삼아 얘기하지만 그건 너무나도 어처구니 없는 궤변입니다. 내가 듣기엔 「거지가 어느 부자집에 가서 밥 좀 많이 달라고 생떼를 썼더니 먹다남은 찬밥덩어리를 후하게 주더라」는 얘기와 다를 것이 없다는 인상뿐입니다. 너무 심한 비유라고 말할지 몰라도 이건 절대로 심한 얘기가 아닙니다. 걸인에게 주는 밥덩이에는 조건이나 없지만 약소국에 베푸는 강국의 원조에는 조건이 붙어 다니기 마련인 것입니다. 옛날 얘긴 그만두고 우선 8.15해방 이후 오늘까지만 되살려 봐요. 30억 「딸라」라는 거창한 원조가 도대체 무엇을 주었다는 말입니다. 잃은 것은 많아도 얻은 것이 없어요. 사대주의사상만이 제멋대로 부풀어 타력에 대한 의존도만 높아졌어요. 이러한 필연적인 결과는 미국의 원조 없이는 금방 죽는다는 강박의식 속에 사로잡히고 말았어요. 자주적인 힘으로 갱생의 길을 찾아야 해요. 삼십억 「딸라」로 해결 못한 후진성을 불과 몇 천만 「딸라」를 더 얻어 해결하겠다고 을사조약에 비등한 2.8협정같은 걸 맺는단 말입니까? 통일아랍공화국의 「낫셀」을 봐요. 인도의 「깐디」를 보고, 우리나라의 지도자 될 사람은 마땅히 본받아야할 위대한 인물이 아닙니까? 미소간에 있어 서로 원조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이 마당에 있어, 우리나라 지도자들에게 민족적인 자존심을 조금이라도 간직할 수 있는 패기가 있다면 모든 문제는 저절로 해결될 것입니다. 정치 경제 외교 등 모든 문제에 있어 대미일변도는 시급히 수술해야 합니다. 국제고아로 낙인된 우리나라가 국제걸인으로 더욱더 전락하기 전에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 위정자들은 불가능할 것 같아요. 2.8협정같은 현대의 불가사의와 이십세기의 우화를 만들기에 애쓰는 사람에게 기대는 조금도 없어요.』

정화암씨 약력
전북김제출신(66세)
▲상해조선학전 관장
▲상해인성학교 이사장
▲8.15해방으로 망명 30년만에 귀국

 

▲ '광야의 소리-정화암' [민족일보 기사 이미지]

「깐디」를 봐요! 「낫셀」을 봐요!
「革」子만 봐도 질겁∙保守一色이 致命的
安逸∙卑屈∙僞善에 찬 指導者들 뿐

『그렇습니다. 勿論 그렇습니다. 貧窮과 無知 그리고 疾病과 盲從은 人類共同의 罪惡이고 敵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새로운 運動을 일으키려는 것입니다. 빵 없는 自由도 싫어하는 우리들입니다. 헐벗은 民主主義 亦是 그저 볼 수 없고요. 그렇다고 共産主義에 가까운 우리가 아닙니다. 自由없는 빵도 싫고 民主主義없는 옷가지도 싫어하기 때문에 말입니다.』
무지
記者를 맞는 鄭華岩 氏의 말이었다. 『얼핏 듣기에 自由도 싫고 民主主義도 亦是 싫다니 그럼 뭐냔 말씀이죠? 잘 물으셨읍니다. 내 대답하죠. 그건 바로 한마디로 말해서 民主社會主義라는 것입니다. 죄없는 人間에게 주름살 지우는 貧窮과 無知를 몰아내고, 白色이건 赤色이건 一切의 獨裁를 排擊하는 것이 우리 民主社會主義의 根幹이요. 思想이요. 信念입니다. 다시 말하면 萬人平等의 原則아래 배불리 먹고 따뜻이 살면서 健康과 總名을 깃들이게 한 다음 自由와 平和를 오붓이 누리자는 것입니다. 이러한 思想을 母體로 하고 그와 같은 理念을 核心으로 한 것이 바로 우리의 생각입니다.』

몸은 비록 늙었지만 마음은 아직도 二十代 에 조금치도 지기 싫다는 鄭氏의 肉聲은 覇氣에 넘치고 情熱에 充益하는 것이었다.

李政權으로부터 某國駐在大使職을 交涉받았을때 『腐敗와 野合하는 鄭華岩이 아니다』라는 한마디로 卽席에서 一蹴했다는 그의 高潔한 淸貧과 强勒한 鬪志는 苑西洞 한모서리의 셋방살이가 雄辯으로 말하고 있는 듯 했다.

『모두가 다 마찬가집니다. 保守政黨이란 다 마찬가지예요. 民主黨이나 新民黨이 自由黨과 별로 다를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草綠은 同色이라는 말과 같죠. 四.一九가 失敗한 原因을 아십니까? 그것은 다름이 아닙니다. 頑固한 獨裁가 거꾸러진 것뿐이지 遺産을 물려받은 後繼勢力은 故人과 다름이 없는 保守一色이라는데 致命的인 失敗의 原因이 있어요. 前進하는 歷史에 拒逆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革命課業을 完遂할 수 있단 말입니까? 四.一九는 하늘이 주신 좋은 轉機였지만 황량한 이 땅에는 轉機를 휘어잡을 새로운 勢力의 힘이 없었읍니다. 힘이 없다기 보다 있을 수가 없었죠. 革新이란 革子만 보아도 너더댓길 훌쩍 뛰던 낡은 勢力의 共謀로 말미암아 革新勢力의 機能은 完全히 마비된 글자 그대로 황무지에 가까웠죠. 誇張이 絶對아닙니다. 우리들에겐 숨 한번 크게 쉴 自由마저 없었으니깐요. 이러한 마당에 革命政權을 引受해야 할 새로운 主人公이 없고 보니 漁父之利를 하게 된 民主黨政權에 依하여 四.一九는 짓밟히기 너무도 당연한 것이죠』

폐허화된 이 땅에도 革命이 있어 어렵다는 장미꽃이 어여쁘게 필줄 알았건만 장미는 봉오리도 맺기 前에 또다시 들었다고 嘆聲을 連發하는 氏의 얼굴은 잠시 어둡게 보였다. 그러나 話題가 二.八經濟協定에 미치자 氏의 顔面엔 가벼운 경련이 일면서 약간 흥분하기 시작했다. 잃어버린 나라를 찾기 위해 東家食西家宿으로 亡命 四十年을 보낸 氏에게 있어 마땅한 動靜인지도 모른다. 그는 말을 이었다.

『나라 되는 꼴 寒心스러워요. 이 나라 이 民族의 指導者라는 사람들은 安逸과 卑屈과 僞善속에서 指向할 바를 모르고 있어요. 그분들이 하는 말은 仔細히 들어봐요. 二.八協定같은 歷史의 屈辱을 榮光의 「빛」이라고 우겨대는 그 心思를 보란 말입니다.  몇 千萬弗의 援助를 더 받게 된 것은 우리 內閣의 外交的一大勝利라고 자랑삼아 얘기하지만 그건 너무나도 어처구니 없는 詭辯입니다. 내가 듣기엔 「거지가 어느 富者집에 가서 밥 좀 많이 달라고 생떼를 썼더니 먹다남은 찬밥덩어리를 厚하게 주더라」는 얘기와 다를 것이 없다는 印象뿐입니다. 너무 甚한 比喩라고 말할지 몰라도 이건 絶對로 甚』한 얘기가 아닙니다. 乞人에게 주는 밥덩이에는 條件이나 없지만 弱小國에 베푸는 强國의 援助에는 條件이 붙어 다니기 마련인 것입니다. 옛날 얘긴 그만두고 우선 八.一五해방 以後 오늘까지만 되살려봐요. 三十億「딸라」라는 거창한 援助가 都大體 무엇을 주었다는 말입니다. 잃은 것은 많아도 얻은 것이 없어요. 事大主義思想만이 제멋대로 부풀어 他力에 對한 依存度만 높아졌어요. 이러한 必然的인 結果과는 美國의 援助없이는 금방 죽는다는 强迫意識 속에 사로잡히고 말았어요. 自主的인 힘으로 更生의 길을 찾아야 해요. 三十億「딸라」로 해결 못한 後進性을 불과 몇 千萬「딸라」를 더 얻어 해결하겠다고 乙巳條約에 比等한 二.八協定같은 걸 맺는단 말입니까? 統一아랍共和國의 「낫셀」을 봐요. 印度의 「깐디」를 보고, 우리나라의 指導者될 사람은 마땅히 본받아야할 偉大한 人物이 아닙니까? 美蘇間에 있어 서로 援助競爭이 벌어지고 있는 이 마당에 있어, 우리나라 指導者들에게 民族的인 自尊心을 조금이라도 간직할 수 있는 覇氣가 있다면 모든 問題는 저절로 해결될 것입니다. 政治 經濟 外交 等 모든 問題에 있어 對美一邊倒는 時急히 手術해야 합니다. 國際孤兒로 烙印된 우리나라가 國際乞人으로 더욱더 轉落하기 前에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現爲政者들은 不可能할 것 같아요. 二.八협정같은 現代의 不可思議와 二十世紀의 寓話를 만들기에 애쓰는 사람에게 期待는 조금도 없어요.』

鄭華岩氏略歷
全北金堤出身(六六世)
▲上海朝鮮學典館長
▲上海仁成學校理事長
▲八.一五해방으로 亡名三十年만에 歸國

 

<민족일보> 1961년 2월 22일자 1면
정리 - 이창훈 4.9통일평화재단 사료실장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