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이 남북 이산가족 문제 해법과 관련해 `생사확인`의뢰자와 `상봉` 대상에 차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일 공개된 북측 이산가족 생사확인 의뢰자 100명은 지난 7월16일 남측에 통보한 1차 이산가족 교환방문단 후보 200명 명단과 비교할 때 대체로 평범한 일반 주민들이 많고 월북 당시 신분도 대체로 농민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다.

1차 교환방문 대상 선정을 위한 예비후보 200명 명단에서는 박 섭(74), 오영재(64)씨씨 등 `예술인`이나 김옥배(여.62)씨 등 `교수`, 류 열(82)씨 등 `학자` 등 유명인사들이 상당수였고 이들 대부분이 월북 당시 학생 또는 교수였다.

8.15 상봉 대상 명단 200명 중 월북 당시 학생 신분이었던 사람은 88명(44%)였고 노동자와 농민이 각각 47(23.5)명과 43(21.5%)명이었으나 이번 `생사확인 의뢰자` 중 학생은 22명(22%)에 지나지 않으며 농업에 종사했던 사람이 45명(45%)으로 가장 많다.

이번 생사확인 명단중 서울대 법대에 다년던 리일걸(71)씨 등 월북 당시 `대학생` 신분이었던 사람은 4명이지만 리 씨와 또다른 대학생 출신인 신영하(70)씨 등의 현 거주지가 각각 함흥과 개성인 점으로 미뤄 `중앙` 또는 `핵심` 간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남측을 방문할 상봉 대상은 북한에서 성공적 삶을 살아 북한 체제의 우월성에 대한 확신 정도가 남다른 사람들을 선정할 필요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비해 시범 사업으로 처음 시행하는 `생사확인`의뢰자는 남측을 직접 방문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봉 대상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아도 무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측은 또 생사확인 의뢰자 대상과 상봉 대상을 `상봉 대상자`가 누구냐에 따라 선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직계 가족 또는 부모가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상봉` 대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생사확인` 대상으로 나누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북측이 이번에 통보한 `소식조사 의뢰서`는 지난 8.15때 양식과 달리 부모 이름을 따로 명시하고 `찾는 대상`에 부모 명단을 제외한 나머지 가족 친척들을 기입했다.

한편 이번 `생사확인 의뢰자` 명단에서 의뢰자의 나이는 60대가 62명(62%), 70대가 38명(38%)로 8.15 상봉 대상 의뢰자 명단 당시와 비슷하며 출신지도 서울과 경북이 각각 15%씩을 차지, 8.15당시 명단과 큰 차이가 없다.

8.15 당시 명단 가운데 60대와 70대는 각각 140명(70%)과 56명(28%)였고 80대도 4명이 포함돼 있었으며 서울과 경북 출신은 28명(14%)과 32명(16%)이었다. (연합2000/10/02)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