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맞이’(이사장 이해찬)는 2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소문로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새로운 남북관계 시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문익환 목사 탄생 100주년 시민통일토론회를 열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남북 정상이 ‘판문점선언’에 서명하고 수시로 만나는 상황에서 통일운동도 바뀌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종전선언’까지 나오는 판국에 통일운동진영은 여전히 과거의 틀에 갇혀 있다는 죽비소리이다.

‘통일맞이’(이사장 이해찬)는 2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소문로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새로운 남북관계 시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문익환 목사 탄생 100주년 시민통일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정창현 현대사연구소 소장은 “‘판문점선언’이 순조롭게 이행된다면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반도 평화체제가 구축되고 이를 토대로 ‘사실상의 통일’이라고 할 수 있는 남북관계의 제도화, 즉 남북연합의 실현까지도 전망할 수 있게 된다”고 현 상황을 짚었다.

1989년 ‘4.2공동성명’ 이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2000년 6.15공동선언 등으로 체계화된 ‘남북연합’은 정상회담의 정례화, 각료회담 구성, 국회회담 등을 담고 있는데, ‘판문점선언’은 이를 포괄하고 있어, 사실상의 남북연합 단계의 문을 열었다는 것.

남북 정상이 한 달도 안 돼 만나 상시적 정례화를 이뤘고, 남북 각료회의 형식의 기구가 올해 내 구성되고, 국회회담이 올해 열린다면, ‘남북연합’은 완성된다는 것.

하지만 시민사회의 통일운동은 현실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 소장은 “지난 10년 정부가 대북정책을 주도하면서 민간 통일운동은 그러한 상황에 안주했다. 그 과정에서 민간통일운동은 독자성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며 “‘시민참여형 통일운동’, ‘풀뿌리 통일운동’ 등 여러 대안이 제기되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문제 제기에 그친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남북연합 단계에 맞는 통일운동의 지향과 역할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남북 당국 간 차원에서 남북연합 프로세스가 진행될 때, 민간 통일운동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근본적인 성찰이 절실하다”며 “새로운 민간 통일운동은 남북교류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내부에 눈을 더 깊이 돌려야 하는 시점을 맞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 토론회장에는 이창복 6.15남측위원회 대표상임의장, 김희선 통일맞이 이사, 고 문익환 목사의 딸 문명금 씨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이창희 동국대 외래교수는 “지금 국면의 특성상 중앙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마치 ‘민간패싱’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앙정부 전담부처조차 상황을 따라가기 바쁜 상황에서 정부의 일방적 주도성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며 “현 국면 이후 남과 북의 교류와 협력에서 시민사회 등 민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제기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렇기에 ‘우리도 빨리 나서야 한다’는 조바심을 버리고, “현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재정비하고 부족한 역량을 채우는 기회로 여기고 여유있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혁희 ‘통일맞이’ 운영위원장은 “시민참여 통일운동 진영 내의 통일관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연합이라는 통일방안을 가지고 있고, 이미 북도 ‘연방연합제’를 과도기적 형태로 인정하는 마당이니 이런 현실을 적극 반영하자”고 말했다.

“‘대북 퍼주기’와 ‘민족에 기초한 당위적 통일론’의 동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며 “잃어버린 11년에 대한 성찰없이 새로운 통일운동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재봉 원광대 교수의 사회로 이창희 동국대 외래교수, 정창현 현대사연구소 소장이 발제, 이혁희 통일맞이 운영위원장, 김기헌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기획실장, 이승환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회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이창복 6.15남측위원회 대표상임의장, 김희선 통일맞이 이사, 고 문익환 목사의 딸 문영금 씨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