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3호를 떠올리지 마시라.
요즘 핵폭탄 핫플레이스가 된 대전이야기다.

방사능폐기물 구리전선, 납, 금이 사라졌다.

2008년 해체된 서울공릉동 연구용 원자로에서 방사능에 오염된 다량의 납과 냉각오염수 2드럼, 전선과 벽돌이 무단 폐기되었다. 2010년 우라늄 가공 시설을 해체할 때 나온 핵물질 80kg이 5년 만에 엉뚱한 창고에서 가루 등의 상태로 방치된 채 발견되었다.

지난 5월 7일 대전MBC 뉴스는 2009년 원자력연구원의 우라늄 변환 시설 해체 과정에서 나온 구리 전선 5.2톤, 납 차례제 17톤, 납벽돌 폐기물 9톤, 납재질 컨테이너 8톤, 화학물질 분리에 사용한 오염된 금재질 패킹 2.4kg이 사라져 ‘행방조차 모른다’는 보도를 내보냈다.

더군다나 이 절도행각은 원자력연구원 전현직 직원들의 소행이었음이 드러났고 원자력연구원장은 대전MBC 보도 직후 송구하다고 고개를 숙였지만, 바로 고개를 들고 최저치의 방사능폐기물이므로 안전에는 이상이 없고 10년간 몰랐다며 발뺌했다. 책임은 외부 해체 업체와 그 직원들 몫이며, 유출된 폐기물은 저준위 또는 자체 폐기물 대상이라 괜찮고, 유출 경로 파악을 못한 것은 방대한 양 때문이라고 자신들의 무능을 변명이랍시고 하고 있다.

‘방대한 양’ 때문에 관리가 안됐다니... 공릉동에 있던 트리가마크Ⅱ와 Ⅲ은 상업용 핵발전소에 비해 수 천 배, 수 백 배 작은 꼬마 원자로이다. 꼬마원자로 해체도 제대로 관리 못하면서 10년간 진행될 고리1호기와 줄줄이 이어질 상업용 핵발전소 해체는 어찌할 것인가?

고물상의 제보가 없었다면 지금도 어떤 핵폐기물이 빼돌려지고 금과 구리가 전국 건설업체로, 금은방으로, 치과로 팔려나갔는 지도 모를 일이다. 핵사고는 매번 제보에 의해 드러나고, 핵마피아들은 하나같이 “그러나 안전하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기준치 이하라는 꼬리표를 달고...

4넌간 멈췄던 원자로 ‘하나로’ 재가동

대전 핵폭탄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핵쓰레기 절도사건 와중에 지난 5월 15일 지난 4년간 내진 보강과 안전성 문제로 멈췄던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재가동 승인을 받았다. 원자력연구원의 핵쓰레기 빼돌리기 특별감사를 벌이는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연구원의 결정이다. 내진 보강 공사에도 무수한 의혹과 안전성 문제가 있었으나 작년 12월 무리하게 재가동했고 곧바로 원자로 수조 방사선 차폐용 고온층 두께 부족으로 다시 수동 정지하고 6개월여 만이다.

‘하나로’는 3만킬로와트 급으로 보통 100만킬로와트의 상업용 원자로에 비하면 꼬마 원자로라고 할 정도로 작지만 우라늄을 19.75%나 고농축한 핵연료를 사용한다. 월성핵발전소같은 중수로는 우라늄 농축액이 0.3%이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경수로 핵발전소가 3%임을 비교할 때 무시무시한 꼬마원자로인 셈이다.

연구원은 내륙 도심 한가운데 자리해 울타리만 벗어나면 바로 아파트가 있고 학교도 있다. 연구원은 원자로를 가동하면서 발생한 기체 방사능과 액체 방사능을 상시 배출하고 있다. 공기 중에 희석된다고 하지만 인공 방사능은 미량이라도 무시할 수 없다. 상시 배출되는 만큼 인근 주민들은 상시 피폭을 입을 것이고 영향은 더디게 나타나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핵연료봉 공장에 불

지난 5월 16일, 대전 한전원자력연료에서 노동자 6명이 크게 다치는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보도에 나온 내용은 부품동 1층 레이저 용접실에서 집진(먼지와 가스를 모으는 시설) 설비를 증설하던 중 그라인더로 배관을 절단하다 생긴 불꽃이 분진과 만나면서 폭발 사고가 났다.

지난 1월 원자력연구원의 핵폐기물 처리시설 화재는 1시간 이상 발화지점을 찾지 못해 허둥지둥대며 엄청난 재앙을 초래할 뻔 했다. 이쯤되면 대전시민들 놀란 가슴이나 남았을까 싶다.

이번 사고가 난 ㈜한전원자력연료는 핵연료봉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원자력연구원 바로 옆에 있다. 이곳에서 우리나라 모든 핵발전소에 쓰이는 핵연료봉을 생산하고 있으며, 도로를 통해 전국으로 이송되고 있다. 핵연료봉 공장도 대전에 있었다.

하다하다 이젠 방사능 라돈 침대다

지난 5월 21일 대전MBC는 방사능 라돈 침대 매트리스 70여개가 대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들어와 있다는 보도를 내보냈다. 방사능 매트리스들은 비닐조차 씌우지 않은 채 그대로 세워져 있고, 보관할 자리가 부족해 체육관에까지 임시로 쌓아놓은 상태이다.

앞으로 100개가 더 들어온다고 한다. 방사능물질의 이동과정에서 피폭은 일어나지 않는 것인가? 7만개의 리콜 방사능 매트리스가 대전으로 다 몰리는 것인가?

핵쓰레기를 처분할 곳이 없는데 매일 만들어지고 있는 핵쓰레기와 이미 만들어진 16,000톤의 핵쓰레기를 어쩔 것인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카이스트와 대전 과학고에 인접해 있고, 그 안에는 어린이집도 있다. 바로 길 건너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다.

안전 검사 이후 방사능 오염 매트리스의 처리 계획도 전무하다. 경주 중저준위 핵쓰레기장으로 옮기기까지는 또 얼마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지 모른다. 방사능에 오염된 물질은 그 자체가 핵쓰레기이다. 핵쓰레기가 모이고 쌓이면 임시라도 그곳이 바로 핵폐기장이 된다.

대전은요?

고준위핵폐기물 3.3톤, 중저준위핵폐기물 3만드럼, 20년 넘은 노후한 하나로 원자로, 그 외 다양한 핵 물질 관련 실험시설들, 언제 사고나 화재가 날지 모르는 연구원 내 실험 시설들 60%가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게다가 지난달 핵발전소 선진국들도 천문학적 돈만 쏟아 붓고, 두손 두발 다들은 핵재처리 시설 연구비로 명목으로 2020년까지 매년 500여억원을 쏟아 붓겠다는 원자력연구원이 있다.

28년째 천문학적 돈만 들이붓고 있는 일본 로카쇼무라와 프랑스 라아그, 영국 셀라필드 등의 핵재처리공장은 핵발전소에서 나오는 핵폐기물의 1년치를 하루에 쏟아낸다. 어마어마한 핵폐기물생산공장인 셈이다. 이걸 원자력연구원이 연구하겠다고 20년간 6,700억원을 쓰고도 모자라 올해도 406억원의 예산을 받았다.

150만 대전시민들은 이 사실을 대부분 알지 못한다.
그동안 전문가주의가 만들어 낸 병폐다.

라돈침대와 라돈침대의 3배이상 방사능을 내뿜는 방사능 금 매각 사건이후 사무실에 묵혀두었던 방사능계측기를 점심시간에 들고 나갔다. 예상한대로 리모델링한 식당에서의 수치가 2배이상 높게 나온다.

생활속에 들어온 핵무기, 생활속의 방사능.
대전만의 문제일까?
다시 묻는다.
그래서 대전은요? 어쩌실 건가요?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 자연도 인간도, 우주도...

한낱 인간의 욕망이 지구를 망가뜨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꿈꾼다.
에코아나키스트가 꿈이다.


(대체, 25일 00:46, 수정, 26일 07:10)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