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김정애 (평화를만드는여성회 상임대표)

▲ 시민사회의 대화와 상호교류를 통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3차회의'가 지난 8월29일부터 30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진행됐다. 남북한을 포함해 7개국에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참가했다.  [사진제공-안김정애]

지난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3차 회의’에 다녀왔다.

2015년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15개 지역을 포괄하는 전세계 무장갈등예방 시민사회단체인 동북아 GPPAC(Global Partnership for the Prevention of Armed Conflict)와 몽골 시민사회단체인 블루배너(Blue Banner)가 공동으로 주관하는데, 시민사회 사이의 대화와 상호교류를 통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민사회를 대표한다는 의미에서 대표단을 국가가 아닌 지역으로 호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에서 평화여성회와 참여연대 3명, 평양에서 2명, 베이징에서 2명,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명, 다렌 주재 미국 친우봉사회에서 1명, 도쿄에서 1명, 울란바토르에서 3명이 참가했고 GPPAC과 블루배너 사무국 활동가들이 함께 했다.

국가로 치면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몽골 등 7개국에서 시민사회단체 대표가 참가한 것이다. 

올해 비핵지대화 선언 25주년을 맞는 몽골은 그동안 동북아 평화 달성을 위한 조정자,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꾸준히 이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고 있어서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동북아 시민사회단체들은 북의 목소리와 주장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창구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모든 참가자들이 한반도 문제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는 대화와 평화적 해결이 필수적이라는 회의 기본 목표에 동의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북핵 실험, 한미 연합군사훈련 실시, 미국과 북한의 군사작전과 상호협박, 경북 성주지역에 임박한(9월 7일 설치 완료-편집자) 4기의 사드 추가배치 소식 등 한반도와 동북아에 ‘엄중한 시기’로 일컬어지는 때에 열린 터라 회의 초반부터 분위기는 무거웠다. 

게다가 회의 첫 날 일본 인근에 떨어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실험은 회의 분위기를 한층 가라앉게 했다. 북 대표단은 현재의 한반도 위기는 70여년간 이어지고 있는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이 가장 큰 원인이며, 이것이 해결되어야, 즉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해결이 우선시되어야 민간인 교류도 가능하다는 주장을 폈다. 

북 대표단의 주장은 회의의 목표, 지향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지만 각국의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은 이 회의의 목적이 군사적인 수단이 아닌 대화와 타협을 통해 불안정한 안보위협을 제거하고 동북아에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라는데 동감을 표시했다.
   
평화여성회는 발표를 통해 지난 촛불시민혁명과 분단적폐를 청산할 새로운 민주정부의 탄생, 역사상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 탄생 등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희망적이라고 전제하고, 생명·평화·상생의 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한반도 평화안을 제시했다.

△기존의 군사적 '안보' 개념을 시민의 안전을 담보하는 개념으로 바꿀 것. '여성안보'의 개념을 도입하여 유엔안보리 결의안 1325에 제시된 것처럼 한반도 평화협상 과정에 여성의 적극적인 역할을 보장할 것. △‘안보신화’로부터 벗어날 것과 분단적폐 세력을 시급히 청산할 것. △한반도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비핵화를 목표로 설정할 것. △일방적이고 종속적인 한미동맹의 틀을 재정비할 것. △북한이 위협을 느끼는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중단 또는 축소할 것 등이다.  
           
더불어 지난 1년간의 구체적인 활동 내용 즉 △한·미·일 삼각군사동맹 강화를 위해 만들어진 12·28 위안부 합의 무효화 운동, △122명의 주한미군 기지촌 ‘위안부’ 여성의 국가배상 소송운동, △사드반대 전쟁반대 세계여성평화행동 등을 참가자들과 공유하였다.

참가자들은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면서 최종 성명서를 통해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수단과 방법으로 현재의 한반도 위기와 동북아 불안정을 해결해 나갈 것 △상호 위협과 협박의 수위를 낮출 것 △상호신뢰 구축 노력을 할 것 △타국에 대해 핵무기로 위협하지 말 것 △한·미·일이 먼저 평화적인 선제행동에 나설 것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중단 또는 축소할 것 △한반도 정전체제의 종식과 평화체제 수립 논의를 시작할 것 등에 동의하였다. 

북측은 내년 회의를 평양에서 개최할 것을 제안하였다. 짧은 일정이었지만 모든 참가자들의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을 깊게 공유한 시간이었다.
 
"분단을 끝내야 한다는 명제에는 모두 동의합니다. 그러나 항상 단서를 붙이고 이유를 만드는 자들이 있습니다. 

'No is No!!!!!' 이번 참가자 중에 한 사람이 외쳤습니다.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자 범인입니다. 불안과 공포를 조성하는 자 범인입니다. 주변국에 흔들리지 않고 남과 북이 전제조건 없이 만나 대화를 나누는 것이 최선입니다. 

안보는 특정세력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남북의 모든 민간인이 각 분야에서 서로 만나 관심사를 공유하고 일상의 이야기를 나누어야 합니다. 민간인 교류는 허가사항이 아닙니다. 모든 시민은 자유왕래의 권리가 있습니다.

이제는 분단의 칼춤을 걷어 치우고 누군가의 유언처럼 분단의 빗장을 빼 버리고 평화통일의 대문을 활짝 열어야 할 때입니다. 한반도 여성들의 간절한 평화의 바람이 조만간 분단의 견고한 벽을 허물게 되리라 희망합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