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 / 부산가톨릭대 외래교수, ‘사상강국’ 저자, 전 민주공원 관장

 

위 제목의 주제를 갖고 글 쓰는(=주장 펼치기) 것도 여느 대선 때보다 좀 편안하다. 이유는 그 여느 때보다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이고, 아니 확실시되어서 그렇다. 그러니 민주세력(=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당략에 상관없으니 당연히 이번 19대 대선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를 내어야 한다는 객기 아닌 객기(?)도 부려볼 수도 있게 된 것이다.
 
아니 좀 더 엄밀히 말하면 매우 늦은 감이 있고, 왜 그런 전략적 상상을 못하는지에 대한 진보-시민사회진영을 좀 비판하고 싶어지는 측면도 없지 않다. 마침 이 글을 구상하고 쓸 즈음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에서 제19대 대선방침(주1)이 부결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와서 더더욱 그러하였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민주노총의 그 결정은 결과적으로 오히려 더 역설적이게도 이번 제19대 대선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 자신들의 독자후보전술을 더 구현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쪽으로 생각을 바꾸게 된 결정적 요인과도 맞물려 있게 되었다.
 
왜냐하면 민주노총의 그러한 결정이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을 구현하는데 있어 엄청난 난관을 조성시킨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또한 분명한 것은 그 난관, 민주노총의 그러한 결정을 핑계로 아직 인큐베이트에서 제대로 된 성장도 해보지 못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을 폐기시켜야 한다는 당위로 곧바로 연결시키려 하는 태도, 그 태도가 더더욱 옳지 않아서 그렇기도 하다.  

그 이유를 좀 따져보자.
 
우선, 박근혜 퇴진(구속)과 적폐청산, 대선은 두 바퀴여야만 굴러가는 수레와 같은 것이다. 좋든 싫든 일정을 놓고 보면 벚꽃 대선이 되었던 12월 정기 대선이 되었던 두 사실에는 연관과 관계의 법칙이 작동한다.
 
5월 벚꽃 대선이 현실화된다면 현실적으로 그 정국 주도권은 대선후보들이 하게 된다. 모든 언론과 민심은 그 ‘어떤’ 후보를 찍을 것인가로 모아질 것이고, 비례해서 언론과 민심은 대선주자들의 입과 동선을 따라가게 되어있다.
 
그래서 그 상황은 그만큼 촛불민심을 반영할 진보-시민사회진영의 후보가 더더욱 절실해질 수밖에 없다. 후보가 있어야만 촛불민심의 수용과 적폐청산투쟁을 지속시켜 나갈 수 있는 상황이어서 더더욱 그렇고, 그렇지 않다면, 독자후보를 내지 못한다면 현재의 구도 속에서는 후보들 중 누구 한명을 선택하는 ‘강요된’ 인기투표로 전락될 개연성이 매우 높을 텐데, 이 경우 물론 지금 거론되는 후보들이 온전히 촛불민심을 반영하고 있다면 아무런 고민 없이 이들 후보들 중에 누가 더 잘났고 인기 많은지를 선택하면 될 수도 있겠으나, 그러나 그럴 수만은 없지 않는가?

왜? 지금의 야권후보들은 촛불민심에 놀라 뒤늦게 수용했다는 점과, 촛불민심을 ‘같이’ 수용했더라도(이재명과 안철수) 그 정당적 토대로 볼 때 촛불민심을 100% 올곧게 수렴해나갈 수 있겠느냐하는 점에서는 물음표(‘?’)가 생길 수밖에 없어서 그렇다.

더 나아가서는 이번 대선이 단순한 의미에서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묻지마’ 정권교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즉 적폐청산(=박근혜 구속+부역자 처단+유신잔재 철폐+종북프레임 극복+신자유주의 사회체제 개편 등)과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궁극적 정권수립 목표가 여전히 유효하다면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이후 확장된 정치공간과 민심공간에서 그 지향을 실현시켜 나갈 조직적 무기(구심)를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하는 문제도 매우 중요할 텐데, 그러한 전략적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서라도 필연적으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만에 하나 상상하기도 싫지만, 12월 정기대선이 치러진다는 가정이 가능하다면 대선기간까지 대중운동방식으로의 촛불항쟁은 지속될 수밖에 없고, 그렇게 촛불항쟁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면 박근혜 퇴진(구속)투쟁 그 과정이 곧 대선투쟁이라 할 수밖에 없는 상황과도 맞물려지고, 또한 적폐청산 피로도와 수구·보수세력의 조직적 반격을 격퇴할 수 있느냐의 문제도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될 수밖에 없어 그 상황은 12월까지 보수·수구세력의 반격도 물리치고 민심의 적폐청산 피로도도 이겨낼 수 있는 그 무엇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강력한 조직적 구심형성과 정치적 아젠다가 생성되면서 그 긴긴 시간을 이겨나가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적폐청산투쟁과 대선국면은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과 서로 분립되어질 수 없는 관계정립으로 나타난다. 특히, 아래 두 가지 결론은 왜 진보-시민사회진영이 적폐청산투쟁과 대선국면에서 독자후보전술을 구현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첫째는 독자후보를 내와야만 민주·진보개혁세력의 정치적 확장성을 내올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는 것이다. 실재 2002년 대선 이후 1년 4개월 뒤 실시된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은 10석의 국회의원을 배출하였다.
 
둘째는 프레임과 정치 아젠다의 확장성도 내왔음을 기억해야 한다. 무상의료·무상교육 등이 아무렇지 않게 회자되었고, 종북 논쟁 같은 것은 감히 상상조자 할 수 없었다. 즉, 진보·개혁세력이 버티고 있으니 야권의 우클릭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결과적으로 야권에도 유리한 정치 환경이 제공되었음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다른 한편 위 두 가지 결론을 분명 갖고, 역대 그 여느 때보다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인데, 그런데도 왜 개운한 느낌이 들지 않는지는. 왜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본 결과 그 결론은 멀리 있지 않았다. 우선은 여전히 박근혜 퇴진(구속)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과, 이와 비례해서 (역사적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수구·보수세력의 반격채비도 끝났다는 찝찝함 때문이었다. 다음으로는 현재의 대선구도를 <정권교체나 정권연장>이라는 프레임으로 본다면 특별한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99%이상의 확률로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가 확실시 되지만, ‘문재인 대 비문재인’ 프레임으로 봤을 때는 야권세력(문재인)으로의 정권교체가 쉽지 않다는데 있다.(⇒그래서 너무너무 중요하게 대선기간 내내 어떤 일이 있더라도 정권교체의 프레임을 일관성 있게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두 가지보다 더 찝찝한 것은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진보-시민사회진영에서 그 어떠한 대선방침과 후보전술도 전혀 보이지 않는 답답함 때문이었다.

대선국면에서 초대받지 못한 유일한 손님이 되어 버렸다. 억측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적어도 한 가지 만큼은 분명한 것이 이번 대선국면에서 너무 존재감이 없다는 것까지 부정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이다. 
 
정권교체, 시대교체, 정치교체 등으로 표현되는 프레임을 상위개념으로 하여 세력교체, 재벌청산, 국민성장, 공정경제, 동반성장, 개혁정치 등의 대선아젠다가 난무하는데도 진보-시민사회진영은 그 어디에도 자신의 목소리가 없다.
 
사실 위 정치프레임과 대선아젠다들 중 몇 개는 따지고 진보-시민사회진영이 만들어내어야 할 구호이고 프레임이지 않는가? 그런데도 상황은 이렇게 무기력하기만 하고, 보기에 따라서는 위 주장들에 대해 소유권을 주장하더라도 아무런 이의가 없을 만큼 한때는 이러한 정치프레임과 아젠다가 진보-시민사회진영의 전유물이었던 것을 기억하면 너무나 쓸쓸하다 하겠다.
 
하여 남의 집 불구경하듯 할 수는 없게 되었다.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그 시대적 요구를 누구보다 잘 읽어왔고, 정치공학과 정치논리가 아닌 참여민주주의의 원리에 맞게 민심과 함께 호흡해왔던 진보-시민사회진영의 그 총명한 지혜의 힘을 놓아서는 안 된다. 결단코 안 된다 하겠다.
 
지금과 같이 적폐청산투쟁과 대선국면이 함께 굴러가는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하루빨리 패배주의와 종북 프레임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그 어느 시기보다 보수·수구세력들에 대한 적폐청산 요구 및 민심으로부터 정권교체의 요구가 이렇게 확실하게 표출된 적이 없었던 대한민국에 그 역할을 다해야 한다. 자주·민주·통일운동세력의 적장자로써 그 책무를 다해야 한다.
 
8·15광복 이후 경험했던 4.19와 부마, 5.18민주화운동과 87년 유월항쟁, 촛불항쟁의 운동적 경험과 자산을 총동원하여 정말 제대로 된 대한민국을 건설할 국가설계도를 완성해내는 저력을 발휘해내어야 한다.
 
해서 지금 국면 하에서는 방임할 시간조차 허락되어서는 안 된다. 이유는 다들 아시다시피 일반적인 의미에서 대선은 권력재편의 정세적 특성을 갖고 있다 할 수 있겠다. 다만, 올해 대선은 그 의미가 권력재편에다 적폐청산이라는 민심이 더해져 있고, 그러다 보니 더 중요한(한 국가에서 그 어떤 대선이든 중요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대선이 되었고, 그 의미의 구체화는 야권으로의 정권교체와 대한민국 대개조로 함의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 전제를 갖고 이번 19대 대선은 여러 정황, 즉 박근혜 탄핵요인, 정치세력 간 세력분포, 국민들 정서 등을 고려해 봤을 때 정권교체라는 소극적 목표가 이뤄질 가능성은 매우 높아져 있음이 위에서도 확인되고, 여론조사 결과에도 나타난다.(=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그러나 정권교체의 궁극적 목표가 달성되기가 쉽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자주적 민주정부수립) 
 
이는 결국 궁극적 목표가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은, 변혁운동적 관점에서 본다면 주체적 역량(=진보-시민사회진영)의 힘이 지금의 대선국면을 주도할 수 없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하겠다.

그런 함의에도 불구하고 그런 함의와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은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는 촛불민심이라 할 수 있는 적폐청산과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이라는 요구가 완전히 수렴되는 정권형태는 야권세력 중심의 정권교체를 넘어서는 자주적 민주정부수립 정도가 될 텐데, 아무래도 그러한 정권형태는 진보-시민사회진영의 주체세력에 의해 이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위에서도 확인받듯이 지금의 정세국면을 진보-시민사회진영이 주도하고 있지도 못하고 있고, 또 야권중심의 정권교체를 건너뛰어서 곧바로 자주적 민주정부수립이 가능하지 않다는데 있다.

즉, 단계로 보자면 야권중심의 민주연립정권 구성(= 1단계: 현재적 상황으로 보자면 더민주당+국민의 당+정의당까지 참여하는 공동연립정부형태 / 2단계: 진보적 대중정당도 야권중심의 공동연립정부에 참여)  → 자주적 민주정부(= 진보적 대중정당 중심의 민주연립정권 형태) 구성이라는 경로가 가능할 텐데, 바로 그 경로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정치세력화(=진보적 대중정당)가 필요하고, 그 진보정당을 통해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이 가능하고 권력주체의 담지자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제19대 대선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은 야권세력 중심의 정권교체를 이뤄내는데 방해를 하지 않으면서도(더 적극적으로는 도움을 주면서도) 자신의 목표로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지향을 실현시켜 나가는 전략을 구사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 내용으로는 진보적 대중정당(=진보정치) 건설의 토대마련과 진보-시민사회의 아젠다(=자주·통일·평화·복지·생태) 확장, 그리고 2018년 지자체 선거에 출격할 준비된 후보 발굴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경험적으로 보더라도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이 분열의 프레임이 아니라, 정치적 확장프레임이라는 경험적 정당성을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사례적으로 보더라도 위 글에서 확인받았듯이 2002년 대선은 다들 아시다시피 야권의 노무현, 진보당의 권영길, 여권의 이회창이라는 3자 구도였지만 결과는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2007년과 2012년은 야권후보와 여권후보 간의 1 대 1(2자구도) 빅매치(big-match)였지만, 모두 여권후보인 이명박과 박근혜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엇을 말하고 함의해주고 있는가?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가 민주세력으로의 정권교체에 방해가 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함께, 오히려 민주세력으로의 정권교체에 복무했다는 결론이 가능해졌다는 사실이다. 즉, 통상적 인식보다는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가 있음으로 인해 여권으로부터 야권후보에 대한 이념적 공세를 막아주고 야권후보의 확장성이 더 높아져 야권으로의 정권교체가 가능해졌다는 것을 함의해주고 있다 하겠다.
 
그렇다면 이번 대선은? 이런 측면에다 그 여느 때보다 야권으로의 정권교체가 확실하기 때문에 더더욱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을 구사하여 야권으로의 정권교체에 복무하면서도 자신들의 내적목표(=진보정치, 아젠다 확장, 2018년 지자체선거 준비)를 구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분명하게도 그런 전략과 전술을 구현시켜낼 당위가 발생하고 있음이다.(좀 더 거창하게는 역사적 책무가 생겨났다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번 19대 대선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은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 이후를 내다보는 전략적 상상력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하겠다. 변혁운동적 관점에서 요구되는 제대로 된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진보정치 실현)이라는 조직적 과제를 해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왜 그런가? 누누이 말하고 있지만 정말 더없이 좋은 기회여서 그렇다. 독자후보전술이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가 불확실시되는 그러한 국면이라면 이 독자후보전술은 여러 가지 논쟁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겠지만, 적어도 지금의 국면상황에서는 적폐청산과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에 복무하면서도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운동적 과제해결에 있어 그 조직적 토대인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이라는 염원을 실현할 수 있는 일거양득(一擧兩得), 아니 일거삼득(一擧三得)의 기회여서 더는 놓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과는 별개로 명심해야 될 것은 진보-시민사회진영이 진보적 대중정당건설(=진보정치 구현) 경험과정에서 한 번의 뼈아픈 실패경험을 갖고 있음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로서의 반면교사 그 첫째는 새롭게 재건하고자 하는 진보적 대중정당은 이념적 토대를 보다 대중화·합법화하여야 한다. 두 번째는 현존하는 정의당과의 무한대(=∞)에 가까운 헌신성과 설득과정을 거쳐 최종적 결론을 내와야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이번 대선이 갖는 중요성은 무엇보다 이론적으로야 비합법적 경로(=항쟁, 봉기, 민란 등)로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봤을 때는 합법적 경로(=선거투쟁)를 외면하고서 그러한 정권수립이 정말 어렵다고 봤을 때는 이번 대선은 그러한 경로확인과 예행연습의 의미를 갖춰내어야 한다.
 
그 방법으로 진보-시민사회진영은 이번 대선국면에서 박근혜 구속투쟁과 적폐청산이라는 요구를 높게 들고(투쟁형태: 대중투쟁을 통해) 정권교체에 철저히 복무, 그러면서도 정치세력화의 대중적 기반과 조직적 토대를 구축 및 확장시켜 나가는 경험적 자산을 획득해내어야 하는 것이다.
 
먼저, 박근혜 구속을 목표로 하는 대중투쟁을 더 높이 전개해야 한다.
        ⇒ 적폐청산의 내용을 정립하고 그 요구를 전면에 내 걸어야 한다.
        ⇒ 한미동맹 재정립과 사드반대의 요구를 드높이 올려야 한다.
        ⇒ 6.15와 10.4선언 전면이행, 조건 없는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요구를 통해 연공연북의식을 높여내어야 한다.
 
둘째, 독자후보전술을 통해 진보적 대중정당의 조직적 토대와 시민사회의 아젠다(=자주·통일·평화·복지·생태 등)를 확장시켜 내어야 한다.
        ⇒ 신자유주의 체제극복(=대안적 국가체제 제시: 자주-평화-민주-복지-생태국가의 상 제시)
        ⇒ 민중중심의 국가적 질서체계 확립 요구[87년체제 극복과 헌법개정(=자주·평화이념 제시, 주권재민과 참여민주주의 구현, 국민통합과 지방분권 등), 경제민주화와 재벌체제극복, 국가폭압기구 전면재편, 보편적 복지제도 전면도입 등]
        ⇒ 대선국면에 돌입하면, 각 지역단위, 기초지자체 단위의 선거대책본부를 구성하여 진보적 대중정당의 조직적 토대구축과 그 과정에서 2018년 지자체선거에 대비한 후보군을 발굴, 육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위와 같은 전략적 목표를 분명히 하였더라도, 아니 하면 할수록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은 그 과정에서 민주세력(=현실적으로 본다면 야권세력)으로부터 혹은, 일부의 민심과 여권세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음도 반드시 상기해야만 한다. 그 결론에는 ‘다된 밥에 고춧가루 뿌리는’ 행위로의 비판과 비난이 융단폭격처럼 날아들어 올 것이라는 사실이다. 여기에는 야권단독으로 정권교체가 가능하지 않다는 여론형성과 비례해서 그  강도가 높아질 것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것이다. 
 
야권은 야권대로, 여권은 여권대로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진보정치의 부활을 달갑게 맞이하지 않는 결과의 반영인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확인받듯이 진보-시민사회진영은 자신들의 궁극적 목표인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을 위해 그 준비와 예비를 뚜벅뚜벅 만들어내어야 하고, 야권에 대해서는 2002년과 2007·2012년 대선에서 확인받듯이 2자구도가 결코 유리한 정치적 환경이 아님을 설득해내어야 한다. 반대로 여권의 공격에 대해서는 촛불민심과 더 호흡하는 방식으로 그 정치공작을 분쇄해내는 힘과 지혜가 필요하다.

그 지혜로운 정치공학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야권이 단독으로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는 판단과 진보-시민사회진영도 독자후보를 내더라도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에는 아무런 이상전선이 생겨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무소의 뿔처럼’ 과감하게 독자후보전술을 끝까지 구현시켜 가야한다.
 
둘째는, 야권이 연대를 요청해 왔을 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의 수에 대한 정답을 갖고 있어야 한다. 1)진보-시민사회진영이 총동원된 과학적인 정세분석법으로 볼 때 야권의 그러한 요구가 엄살(=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가 나오더라도 야권중심의 정권교체가 가능한데도 일부러 여론을 호도하여, 혹은 다른 정략적 의도로 인해)이라고 판단되면 위 ‘첫째’와 마찬가지로 ‘무소의 뿔처럼’ 과감하게 직진하면 된다. 2)다만, 이 경우가 문제인데 야권의 연대요청이 진짜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로 인한 표 분산결과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가 불확실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그 경우이다.(=진보-시민사회진영도 그렇게 분석하는 경우이다.)
 
이때는 진보-시민사회진영에서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하는데, 기본 원칙은 독자후보전술을 철회해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원칙은 고수하여야 한다. 2018년 지자체와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의 조직적 토대건설이라는 전망을 놓치면 안 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자주·통일·평화·복지·생태 등과 같은 영역별 진보적 아젠다와 적폐청산의 내용을 공약화하여 야권세력의 대선공약에 반드시 반영, 공동연립정부의 한 축을 형성해야 한다는 사실이다.(=이 의미는 무조건적인 독자후보전술 철수를 의미하지 않는 것과 똑같다. 이유는 그렇게 해야만 야권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지더라도 그 정권하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정치활동 폭을 확장시켜 낼 수 있고, 야권정권이 우편향으로 회귀하는 유혹을 막아낼 수 있어서 더더욱 그렇다.)

이제 결론을 내리자. 결론적으로 위 제목만 보고 오해하려 했던 의도도, 편견도, 오역도 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유는 본 글 그 중핵이 독자후보로 할 만한 인물이 있냐?, 독자후보전술을 구사할까 말까하는 그런 전술적 개념을 넘어서고 있어 그렇다.  
 
즉, 이번 19대 대선에서 그 의미를 어떻게 찾고, 어떻게 하면 촛불민심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을까? 그러한 정권형태라 할 수 있는 자주적 민주정부 수립을 내오는데 독자후보전술이 좋은 보약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고자 함이어서 더더욱 그렇다.
 
하여 본 글 이후 전개되는 진보-시민사회진영의 독자후보전술 논쟁은 그 결과가 야권세력으로의 정권교체에 철저히 복무하면서도 운동이론적인 결론도출에 도움이 되고, 이후 제19대 대선과정에서 진보-시민사회진영의 진정한 역할 제고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해법을 찾는데 조그마한 불씨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본인의 주의-주장이 필요하다면 최선을 다해 논리전개를 다해 나갈 것도 약속드린다.

------------------------------

<주>

1) 민주노총은 지난 7일 대의원대회에서 2018년까지 진보-시민사회진영을 아우르는 선거연합정당을 건설한다는 내용과 이번 대선에서 민중진영의 대선단일후보를 선출해 내세우는 내용을 담은 ‘정치전략’안이 부결시켰다. 표결 결과 재석 601명의 대의원 가운데 정치방침에 찬성한 대의원은 221명(35.1%)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