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혁명 56주년을 맞이합니다. 수유리 4.19탑에서 북한산 대동문에 오르는 진달래능선에는 지금쯤 56년 전 그날을 말해주듯 변함없이 붉은 진달래꽃이 만개해 있겠지요.

여러 평가가 있을 수 있지만, 4월혁명은 이승만 정부의 부정선거와 독재에 대항한 민주주의 쟁취투쟁이었으며, 주체 세력이 초기에는 대학생들에 의해 일어났다가 점차 일반 시민, 민중들로까지 나아간 민중투쟁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혁명의 열린 공간에서 진보세력이 등장하면서 점차 분단시대를 마감하고 민족통일을 염원하는 차원으로 나아갔기에 민족주의적 요소도 결정적으로 가미되었습니다. 사실 4.19공간은 엄청난 열기로 가득 찬 민족통일운동의 장(場)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통상 4월혁명의 정신을 ‘민중‧민주‧민족’ 혁명의 정신이라고 평가해도 그리 크게 어긋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만 당시 혁명이 성공하지 못했고 아직 혁명완수를 향해 진행하는 과정에 있기에 4월혁명을 ‘미완의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나라 역사에서 4월혁명의 정신은 시대를 달리하면서도 면면히 이어왔습니다. 1980년 5월 광주민중항쟁이 그랬고 1987년 6월항쟁이 그러했습니다. 모두 민중과 시민이 나서 불의와 독재에 맞서 목숨을 걸고 항거한 것입니다.

이번 4.13총선에서도 4월혁명의 정신이 관통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집권당인 새누리당이 과반수 의석은커녕 더불어민주당에도 패배해 원내 2당으로 밀렸는데, 그 패인의 핵심에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민적 심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박 대통령은 3년간 국정을 오만과 독선 속에 실정에 실정을 거듭해 왔기 때문입니다. 그 형태가 민생을 파탄 내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며, 그리고 남북관계를 결딴내는 데까지 나아갔으니까요.

구체적으로 청년들은 ‘흙수저’와 ‘헬조선’을 말하고, 노동자들은 항시 비정규직으로 밀려날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2년이 지나도록 세월호 참사는 그 진상규명조차 제대로 되고 있지 않습니다. 게다가 다수가 반대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밀어붙이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의 사죄도 없이 10억 엔에 팔아먹고, 민족의 화해와 협력의 상징이었던 개성공단을 폐쇄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러니 사회적 불평등이 불가역적으로 심화됐고, 민주주의는 유신독재정권 시절로 역주행 했으며, 남북관계는 7.4공동성명 이전으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입니다. 이같이 박근혜 정부 3년간 온갖 나쁜 요소들이 켜켜이 쌓였고, 참다 참다 못한 국민들이 이번 총선에서 그 적폐를 일소하는 표심을 보여준 것입니다.

국민들이, 민중을 신민(臣民) 정도로 여기고, 반민주적이고 민족대결적인 행태를 보여준 박근혜 정부에 대항한 것은 ‘민중‧민주‧민족’라는 4월혁명의 정신이 오늘날에도 면면히 흐르고 있다는 징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