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이 살아있는 탄저균을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로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주한미군 측은 해당 탄저균을 폐기했으며 22명이 노출됐지만 감염자가 없다고 밝혔다.

스티브 워런 미 국방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각) 성명을 발표, "유타 주의 군 연구소에서 부주의로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캘리포니아와 메릴랜드 등 9개 주로 옮겨졌다"고 밝혔다.

그리고 "탄저균 표본 1개는 한국 오산에 있는 주한미군 합동위협인식연구소(ITRP)로 보내졌다"며 "발송된 표본은 규정에 따라 파기됐다"고 설명했다.

주한미군 51비행전투단도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활성 탄저균의 한국 유입을 시인, "탄저균으로 의심되는 샘플의 노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중한 예방조치를 실시했다"며 "일반인들에게 어떠한 위험도 노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탄저균은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오면 독소를 만들어 내 혈액 내 면역 세포를 손상시키고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독성균이다. 이에 탄저균은 활성상태가 아닌 비활성상태로 운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실제 지난 2001년 우편을 통해 탄저균이 미국 정부와 언론사 등에 전달, 우편물을 취급한 집배원과 기자, 병원 관계자 등 5명이 숨진 바 있다.

미국은 지난해 7월에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소속 연구소가 탄저균 안전규정을 지키지 않아 연구자 60여 명이 노출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주한미군 측은 활성 탄저균을 배송받은 것과 관련, "51전투비행단 긴급대응요원들은 박테리아균이 비활성화 훈련용 샘플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후, 오산공군기지에 있는 응급격리시설에서 탄저균 샘플을 처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해물질관리팀은 즉시 시설물을 차단하고 질병통제센터의 규정에 따라 그 요인을 제거했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당시 주한미군 위협 인식프로그램 훈련에 참가한 22명의 요원의 감염 가능성에 대비, 검사, 항생제, 백신 투여 등 예방조치를 취했고, "어느 누구에게서도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 국방부와 질병관리센터는 이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현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통상 탄저균은 비활성 상태로 주한미군 연구소로 보내져 배양실험을 통해 균을 살려낸 뒤, 북한의 생화학 공격에 대비한 백신을 보유, 제독실험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도 주한미군은 탄저균 샘플을 이용한 합동 주한미군 위협 인식프로그램 훈련을 실시했으며, 훈련은 정상적인 관리절차에 의한 정례적인 실험실 규약에 따른 것이라고 주한미군 측이 설명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이날 입장을 통해 "국방부는 탄저균에 감염 시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를 보유하고 있다"며 "예방 백신은 국내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2016년 개발을 목표로 연구 개발 중이며 국방부는 백신 개발이 완료되면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