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를 시작하며

우리 귀에 익숙하지 않은 대종교(大倧敎)는 1909년 단군교라는 이름으로 중광(다시 일으켜 세움)한 민족 종교다. 홍암 나철(1863~1916) 대종사가 창시가 아니라 중광을 선포한 것은 단군조선 시대의 신교(神敎)로부터 이어오다 고려 중엽 몽골의 침입으로 문이 닫힌 우리 고유 종교를 다시 일으킨다는 뜻이었다.

대종교는 항일 독립운동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일제의 대한제국 침탈 시기에 중광한 대종교는 항일 독립투쟁으로 일관했고, 일제하 36년 간 무려 10만여 명의 순교자를 냈다. 홍암 나철 대종사가 유신회를 조직, 을사오적 처단에 나선 것을 비롯해 ‘무오독립선언서’ 발표, 대종교도들이 주축을 이룬 북로군정서의 ‘청산리독립전쟁’ 승리와 ‘조선어학회 사건’ 등은 일제시기 대표적 항일운동 사례로 꼽힌다.

광복 70년, 분단 70년을 맞아 <통일뉴스>는 대종교 측에 대종교의 민족독립운동 연재를 요청했고, 최경주 대종교 교화사(성직자)가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 작성해 연재가 이루어졌다. 대종교의 관점에서 기술됐고, 고유한 어투로 서술된 점을 참작해 잊혀진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을 함께 여행해 보자. 매주 화요일 23회에 걸쳐 연재될 예정이다. /편집자 주



대종교 독립운동을 연재하며

얼이 나간 사람을 얼간이라 하고 얼이 뜬 사람을 얼뜨기라 하며 얼이 비어 있는 사람을 얼빙이라 한다. 얼간이나 얼뜨기나 얼빙이를 싸잡아서 얼빠졌다라고 한다. 사람이 얼빠지면 사람다울 수 없다. 사람이 제 몫을 제대로 하면서 사람다운 사람으로 반듯하게 살아가자면 ‘얼’이 제자리를 지켜야 한다.

나라도 마찬가지다. 나라가 제 역할을 제대로 하면서 나라다운 나라로 반듯해지기 위해서는 얼이 중심에 서야 한다. 국혼이 바로 서야 한다. ‘국수망이도가존國雖亡而道可存, 나라는 망했으나 정신은 존재한다’이다.

일제하 대종교 항일운동의 궁극적 목적은 민족적 에너지를 총동원한 조국광복 구현이라는 소아적 차원을 넘어서 백두산 남북을 거점으로 문화민족국가 복원을 통한 배달국의 이상향건설에 있었다.

국어중흥운동을 통한 한글에 대한 자존심 부여와 민족주의 역사관 수립을 통한 한국사에 대한 시·공간적 지평을 넓힌 노력도 모두 이러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대종교는 1909년부터 1945년까지 오직 이런 신념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 외세의 침입과 조국의 위기

▲ 중국 연변자치주 화룡시 청호촌에 위치한 대종교 삼종사 묘. 왼쪽부터 북로군정서 총재 백포 서일, 대종교 초대 교주 홍암 나철, 대종교 2대 교주 무원 김교헌의 묘가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근세 조선은 나라를 세운 처음부터 유교를 숭봉하는 모화사상과 사대주의에 사로잡히어 홍익인간의 건국이념은 신화, 전설이나 완고한 사상으로 그릇 인식하고 중국의 요순치세와 공자, 맹자의 교학만이 경륜(經綸)의 대도(大道)인 줄로만 알아왔다. 그러므로 문약(文弱)과 분열(分裂)이 여러 백 년 동안 거듭되었고 사화와 당쟁이 골육간에 피비린 냄새를 자아내고 말았다.

더욱이 대원군이 섭정한 이래 병인 신미의 이대(二大) 양요에서 불(佛), 미(美)의 공세를 무난히 물리쳤으므로 쇄국정책은 한층 더 굳게 되어 근 반세기동안 구미 여러 나라의 팽창한 세력이 극동으로 모여드는 조류에 역행될 뿐만 아니라, 장차 벌어질 국제열강의 침입을 막을 수 없음은 명약관화한 일이었다.

개국진취의 길을 찾지 못하고 미몽에 잠겨 있던 때 곧 개천4332(1875) 을해년에 일본군함 운양호가 강화를 침범하자 우리 수병(守兵)이 이를 포격하였다. 일본은 이것을 천재일우의 호기로 연내의 숙원을 달성하려고 국교수복을 여러 번 요구해와 결국에는 4333(1876) 병자년에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하고 부산, 인천, 원산의 세 항구를 개항하는 한편 외교사절을 교환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일본의 침입은 그 싹이 트게 된 셈이다.

또한 안으로는 청국을 따르려는 사대당과 일본식으로 국정을 쇄신하려는 친일개화당의 일파로 나눠져 민씨파와 대원군파 사이에 갈등과 알력이 날로 심하여지고, 밖으로는 조선을 가운데 두고 청, 일 두 나라의 대립이 격심하였다.

그러던 중에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청국은 민씨일파의 청원으로 난국수습에 원조했다는 구실로 군대를 주둔시키니 일본도 군난 피해에 대한 배상책으로 제물포조약을 체결하는 한편, 공사관 위병을 구실로 군대를 주둔시키니 청, 일 충돌의 도화선이 이로부터 더욱 심해졌다.

뒤를 이어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간 4341(1884) 갑신년에 우리나라는 일본과 한성조약을 체결하여 사건의 일단락을 짓고 청, 일 양국은 다시 천진조약을 체결하여 우리나라에서 양국병력의 철퇴할 것을 약속하고 있을 무렵, 남진(南進)의 야망에 불타고 있던 러시아가 점차 침입의 기세로 영사를 보내어 궁중에 자주 출입하면서 국왕의 총애까지 받게 되니 이에 은연중에 친러파가 생기게 되어 마침내 러시아는 육로무역의 자유를 얻어 경흥이 개시장(開市場)으로 개방케 되었다.

그 후 일본은 동학혁명의 원인이 내정의 부패에 있다하여 우리 정부의 내정개혁을 강권(强勸)하는 한편 청국 측의 협조를 구하였으나 청국은 이에 불응하고 일본군의 철퇴를 요구하매 일본은 친일파를 이용하여 사대당을 배제하며 청국에 대하여 선전을 포고하고 전쟁을 일으키니 곧 청일전쟁이다. 일본은 조선. 만주등지에서 파죽지세로 크게 이기니 청국은 할 수 없이 일본에 대하여 화해를 구하고 시모노세키조약에 의해 전쟁은 끝나고 청국의 세력은 조선에서 물러갔다.

러시아는 극동반도를 조차(租借)하여 동아시아에 대한 근거를 튼튼히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친러파로 하여금 정권을 잡게 하여 개천4360(1903) 계묘년에 용암포를 차지하고 포대를 쌓는 등 그 야욕을 드러내니 이에 일본은 방관할 수 없어 러시아에 대하여 여러 차례 항의를 제기하였으나 개천4361(1904) 갑진년 2월에 이르러 러일 양국은 국교가 단절되고 일함이 여순과 인천항 밖에서 러시아 군함을 불법 포격한 것이 동기가 되어 러일전쟁이 시작되었다.

두 나라의 전쟁은 난공불락을 자랑하던 여순의 함락과 봉천회전의 참패에 이어 발틱함대 마저 무참히 무너져 승리는 일본에 돌아가 개천4362(1905) 을사년 9월에 미국 포츠머드에서 강화조약을 체결하니 청, 러, 일, 삼국의 각축장이던 우리나라는 일본침략의 독무대가 되고 말았다. 이로 말미암아 장차 조국의 운명은 바람 앞에 등불과 같은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