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말 미 상하원 합동연설을 앞두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인신매매 희생자'라고 물타기한 가운데,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29일 방영된 <KBS 일요진단>을 통해 '분명한 역사인식'을 표명하라고 아베 총리에게 촉구했다.

윤 장관은 "이런(미 상하원 합동연설) 계기에 분명한 역사인식을 표명해서 한국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일본의 새 지도자의 면모를 보여주고 새로운 일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인식을 주고 이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호기로 삼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역사인식 문제는 한국 정부만의 관심사는 아니며 국제사회에서도 일본이 과거 독일지도자들이 했던 것처럼 분명한 태도를 보였으면 좋겠다는 컨센서스가 있다"고 했다. 상하원 합동연설, 8월 '종전 70주년 담화'가 시험대라며 "이런 기회를 놓치게 되면 일본 리더십에 큰 손상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일정상회담에 대해서는 "대화 자체를 위한 대화보다는 한 발이라도 나아가는 진전된 회담이 돼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사실 일본 정부도 대충은 알고 있을 것"이라고 공을 넘겼다.

지난 27일자 <위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아베 총리는 "인신매매에 희생된 이 여성들이 측량할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겪은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라고 했다. 일본 정부의 '위안부' 강제동원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얕은 수작을 부린 것이다.

아베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내 생각은 전임 총리들의 생각에서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강변했다. "역사상 많은 전쟁들이 벌어졌고 그때마다 여성의 인권이 침해됐다"며 "일본은 21세기는 인권 침해가 없는 첫세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28일 외교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본질은 일본 정부 스스로가 고노 담화를 통해 인정하였듯이 일본군에 의해 위안소가 설치, 관리, 운영되었고, 모집 과정도 감언, 강압 등에 의해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졌으며, 위안소에서의 생활은 강제적인 상황하에서의 참혹한 것이었다는 점"이라고 반박했다.

"따라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인신매매의 희생자'로 언급한 것이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민간업자에게 돌리고, 일본 정부의 관여와 책임을 부인하려는 의도에서였다면, 이는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려는 것으로서 피해자분들이나 우리 정부, 국제사회로부터 결코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이다."

외교부는 "일본의 정부 지도자들은 미국 오바마 대통령, 클린턴 국무장관, 쿠와라스와미 및 맥두걸 유엔인권특별보고관, 필레이 유엔인권최고대표, 네덜란드 팀머만스 외교장관 등 국제사회의 무수한 인사들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왜 '강요된 성노예', '끔찍하고 극악한 인권침해' 등으로 정의를 내렸는지 다시 한번 되새길 필요가 있다"며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책임을 일본 정부가 분명히 인정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해외 주요 인사들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언급>

ㅇ "위안부 문제는 끔찍하고 극악무도한 인권침해(terrible, egregious violations of human rights)" -'14.4 오바마 미 대통령.

ㅇ '위안부' 용어 대신 '강제적인 성노예' 표현을 사용하도록 지시 -'12.7 클린턴 미 국무장관.

ㅇ "위안부라는 용어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며 군 성노예(military sexual slaves)가 훨씬 정확한 용어 -'96 쿠와라스와미 유엔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

ㅇ "일본 정부와 일본 제국군대는 20만명이 넘는 여성들을 아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는 강간수용소에서 강제로 성노예 상태(sexual slavery in rape centres)에 빠트림" -'98 맥두걸 유엔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

ㅇ "위안부 문제는 전시 성노예 문제(wartime sexual slavery)이자 인권침해" -'14.8 필레이 유엔인권최고대표.

ㅇ "강제 매춘(forced prostitution)이 있었다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음" -'14.10 팀머만스 네덜란드 외교장관.

(자료제공-외교부)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