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는 28일 오후 서울시 삼청동 극동문제연구소에서 ''북한과의 비즈니스:기회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토니 미첼 유로-아시안 컨설턴시 이사는 "지금 북한과의 비즈니스에서는 10만 달러 정도의 소규모 투자가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지금 북한과의 비즈니스에서는 10만 달러 정도의 소규모 투자가 더 유리하다."

토니 미첼 유로-아시안 컨설턴시 이사는 28일 오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가 '북한과의 비즈니스:기회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국제회의에서 발표자로 참석해 "북한과의 비즈니스는 10개 중 하나가 성공하는 벤처 비즈니스 모델이기보다는 10개 중 3개 정도는 성공하는 '어드벤처 캐피탈리즘' 모델에 가깝다"며,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미첼 이사는 지난 1993년부터 북측과 중앙시장 조성, 평수(Pyongsu)제약 합작, 사과쥬스 공장 운영 등 다양한 부문의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2008년 이후 현재 수준의 대북제재가 가해지면서 컨설팅에 전념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업들이 대북 제재 조치로 인해 중단된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서 북한과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북한이 처해있는 경제제재의 환경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북 제재는 좀 더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한국의 5.24제재를 비롯해 나라마다 조금씩 제재 기준이 다르다. 또 전 세계 140여개 나라가 가입돼 있는 바세나르협약에 따라 북한에 수출이 금지된 이중용도 제품과 기술에 대한 규정도 잘 숙지해야 한다고 그는 조언했다.

그는 대북 제재가 잘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개성공단은 북한에서 비즈니스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사업처"이며, "단둥은 북한 비즈니스가 실제 운영되는 곳"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2000년 78만명이었던 단둥 인구는 2014년에 이르러 3배인 210만명에 달한다.

이는 북한과의 교역으로 인한 결과인데, 북에서 단둥에 전화로 주문을 하면 트럭에 가득 실린 제품이 북으로 배송되고 이를 수령한 북에서 단둥지점으로 송금하는 무역과정이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미 재무부의 대북 송금 제재가 통하지 않고 중국 정부도 묵인하는 상황이다.

그는 "북한과 비즈니스를 하는 외국인들의 경우, 대북 제재 자체보다는 그에 따른 공포가 실제보다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며, 이를 고려하더라도 "큰 기대를 가져도 괜찮을 만한 실현가능한 비즈니스 영역들이 많다"고 말했다.

△북한과 인접국간 무역거래 △북한 지방경제특구와 진행하는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 △북한내에서 가동중인 공장을 활용한 아웃소싱 △관광과 유적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합영·합작 프로젝트 △내수를 위한 새로운 소비품 생산 지원 △녹색프로젝트 △미소금융 △재생에너지 등.

미첼 이사가 꼽은 유력한 북한 비즈니스 기회들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