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첫 한.일 국장급 협의가 시작된 상황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를 강제연행을 입증할 정보가 없다고 말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표지모델로 다룬 <타임> 28일자.
아베 총리는 17일(현지시간) 공개된 타임(TIME)과의 인터뷰에서 “집권 1기 아베 내각은 위안부 강제모집을 입증하는 정보가 없다고 ‘결론’지었다”며 “많은 일본인들이 이를 알지 못했고 국제적으로도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이번(2기) 선거운동 기간에 이번 내각은 ‘결론’과 ‘고노 담화’는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말했다”며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의 수정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일본군‘위안부’가 일본군에 의해 강제동원됐음을 인정하고 사과한 ‘고노 담화’와 아베 1기 내각이 위안부 강제모집을 입증하는 정보가 없다는 ‘결론’을 함께 고려한다는 뜻이다.

‘고노 담화’는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소는 당시 군(軍) 당국의 요청에 의해 설치된 것이며, 위안소의 설치.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 관해서는 구 일본군이 관여하였다고 명백히 인정한 담화이다.

한편, 한국과 일본은 지난 16일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외교부 국장급 협의를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하고 다음달 일본에서 2차 협의를 갖기로 하는 등 본격 협의를 개시한 상태다.

외교부 관계자는 18일 “군대 ‘위안부’ 문제는 일본 측이 피해자 분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기에 해결해야 한다”며 “지금 필요한 건 검증이 아니라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밤 외교부를 통해 입장을 발표,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93년 고노 관방장관 담화를 통해 ‘모집.이송.관리 등이 감언, 강압에 의해 총체적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졌다’고 하며 위안부 제도의 강제성을 이미 인정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더구나 지난 3월 아베 총리가 고노 담화를 수정하지 않겠다고 공언해 놓고, 이제와서 ‘군이나 관헌에 의한 위안부 강제연행을 입증하는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내용을 담은 2007년 3월 제1차 아베 내각의 서면질의 답변서를 강조하는 것은 스스로 자기 모순에 빠지는 자가당착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외교부는 “일본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제도가 일본 정부와 군에 의해 강요된 ‘성노예제’라고 판정한 1996년 쿠마라스와미, 1998년 맥두걸 유엔 특별보고관 보고서와 2007년 미국의회 및 유럽의회 결의 등 국제사회의 일치된 목소리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아베 총리는 인터뷰에서 지난해 12월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국가를 위해 무한한 희생을 한 영혼을 추모하기 위해 야스쿠니 신사를 방문해 참배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나는 결코 다시는 전쟁을 벌이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덧붙였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의 정당성을 주장한 셈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총리가 과거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합리화하는 시설을 참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하고 “이미 우리 입장을 밝힌 바 있고,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개헌 문제와 관련 “오랫동안 일본에서는 헌법은 결코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이 있었다”며 “나는 우리 헌법을 지금 수정해야 한다고 말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은 헌법을 여섯 차례 개정했지만 일본은 한 번도 개정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28일자 <타임>의 표지인물로 다뤄졌으며, ‘애국자(The patriot): 아베 신조, 타임에 말하다’는 제목으로 인터뷰가 실렸다.

(추가, 23:33)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